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 혁신 주체로서의 유니콘 스타트업과 그 육성전략을 논의

하이거 2019. 11. 23. 16:27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 혁신 주체로서의 유니콘 스타트업과 그 육성전략을 논의

 

2019.11.21. 산업경제과

191121 (보도자료)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hwp 164.0 KB

  • 191121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 프로그램북.pdf 4.31 MB



























  •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 혁신 주체로서의
    유니콘 스타트업과 그 육성전략을 논의


    □ 기획재정부는 11.21~22일(木~金) 서울드래곤시티호텔(용산)에서 기획재정부 주최,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주관으로 「2019 디지털이코노미포럼」을 개최하였음

     ㅇ ‘디지털이코노미포럼’은 혁신성장의 핵심 원동력인 벤처·스타트업 육성전략을 논의하고, 다양한 지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혁신창업 생태계의 발전을 강구하기 위한 행사로,

       - 스타트업, 관련 전문가 등 민간 참여중심 행사로 작년 개편한 이후, 올해로 2회를 맞이하였음


    < 디지털이코노미포럼 개최 연혁 >



    구분
    일시
    장소
    주제
    1회
    ’18.11.22~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혁신의 원동력 :
    플랫폼 경제와 창업가 정신
    2회
    ’19.11.21~22일
    서울
    드래곤시티호텔
    디지털 경제 시대의 유니콘 스타트업과 혁신성장


    □ 최근 유니콘 스타트업이 글로벌 경제성장·기술혁신을 견인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디지털 경제 시대의 유니콘 스타트업과 혁신성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ㅇ 유니콘·넥스트 유니콘 스타트업의 성장 사례를 공유하는 한편, 글로벌 전망 및 유니콘 스타트업 육성전략 등을 논의할 예정임

     ㅇ 특히,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11.25~26일) 개최를 계기로 특별히 ‘ASEAN 특별세션’을 구성·운영하여,

       - 한-아세안의 유니콘 스타트업 육성전략 및 한-아세안 지역의상호간 협력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임

    □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개회사를 통해 혁신성장,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노력의 성과 및 향후계획을 설명하고,벤처·스타트업계에 지속적인 도전과 기술혁신을 당부

     ㅇ 또한, 김봉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은 환영사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진입규제 개선, 데이터인프라·투자·인재유입 환경 조성 등 스타트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 마련을 강조함

    □ 이어,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과 김영주 한국무역협회 회장의 축사가 있은 후, 500 Startups* CEO, 크리스틴 차이(Christine Tsai)와 European Innovation Council 전략고문,빈디 카리아**(Bindi Karia)가 기조연설을 진행하였음

        * 전세계 75개국, 2300개 이상의 스타트업에 투자한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VC
       ** 컨설턴트, 기업인, 고문 등 기술 스타트업 관련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였으며, 자문회사인 ‘Bindi Ventures’의 설립자

     ㅇ 크리스틴 차이(Christine Tsai)는 기술발전이 역동적인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보다 중요하게 만들고 있으며, ‘전문지식’, ‘자본’ 및 ‘시장’을 스타트업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중요자원으로 강조
     ㅇ 한편, 빈디 카리아(Bindi Karia)는 상업적 성공을 위해 기업, 기업가, 투자자, 정부간의 연결성을 강조하며, 유럽과 그 중 런던의 혁신 생태계 구축 사례를 설명하였음

    □ 22일(金)까지 이틀간에 걸쳐 진행될 6개 세션*에서는 국내외 기업인, VC, 관련 전문가 및 창업·벤처에 관심이 있는예비창업가 등이 참석하여,

        * (1일차) ASEAN 특별세션 포함 4개 세션(2일차) 업계 관계자 대담·Q&A 및 글로벌 정책 동향 논의 등 2개 세션

     ㅇ 벤처·창업 활성화, 국내 유니콘 스타트업 육성 및 혁신성장을 위해 경험·지식을 서로 공유하고 논의할 예정임

    □ 향후 기획재정부는 이번 포럼 논의를 토대로 역동적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여 혁신성장 및 우리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임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