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16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 현황(16년 20호)
장르 일반 등록일2016-11-11
- 1 -
2016. 20호
1. 중국 문화엔터 시장 현황
시장현황
- 게임, 드라마, 음악 등으로 대표되는 문화엔터 분야가 중국의 GDP 성장과 함께 꾸준히
성장함. 게임과 애니메이션은 오래전부터 문화산업의 대표적인 오락 콘텐츠로 현재는 모
바일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드라마와 영화를 대표로 하는 영상산
업은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의 시장 확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디지털 음악의 경우는
저작권 의식 강화와 대기업들의 시장진출로 호황기를 맞았으며, VR, 개인방송 등은 신흥
문화엔터 콘텐츠로 성장하고 있음
[표1] 중국 문화엔터 분야 산업별 발전상황
출처:EnfoDesk
2016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
- 2 -
- 2013년부터 2016년 중국 문화엔터 분야의 산업규모를 보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데, 2013년 1,025억 위안(약 17조 3천억 원)의 산업규모가 2016년에는 2,028억 위안(약 34
조 2천억 원)을 달성 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음. 세부시장 규모를 보면 게임이 여전히 가
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영화 등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인터넷 영상 및 디지털 음악, 개인방송 등 새로운 문화엔터 콘텐츠가 급부상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문화엔터의 성장에는 IP 개발 및 연동이 큰 역할을 담당하
고 있었는데, 2014년 맹목적인 IP 열풍이 잦아들고, 2015년부터는 체계적으로 IP 개발 및
연동이 이뤄지고 있음
[표2] 중국 문화엔터 시장규모
2013-2016년 중국 문화엔터 산업규모 2013-2016년 중국 문화엔터 세부시장규모
[표3] 중국 문화엔터 산업의 IP시장 변화
출처:EnfoDesk
- 3 -
2. 중국 문화엔터 콘텐츠 상장기업
기업 현황
[표4]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 현황
출처:EnfoDesk
[표5]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 콘텐츠별 영업현황
출처:EnfoDesk
- 4 -
- 현재 중국의 문화엔터 대표 상장기업은 텐센트와 알리바바로 나타남. 이들은 각각 문화엔터
전담 산하 기업인 텐센트엔터와 알리엔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게임/음악/문학/애니/영상/개인
방송에 걸친 전 영역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음. 다만, 텐센트엔터는 자체적으로 업무를 진
행하고 있지만, 알리엔터의 경우 인수합병을 통한 업무 추진이 진행되고 있음
- 러스의 경우 인터넷 동영상 산업을 기반으로 게임, 개인방송 등 비즈니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중국의 대표 엔터기업인 화이브라더스 또한 기존 영상산업뿐만 아니라 음악, 애니, 게
임 등 다양한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이 밖에 게임으로 대표되는 37엔터와
장취 테크놀러지, 완메이세계 등 또한 투자를 통한 비즈니스 영역 넓히기에 들어감
[표6] 2016년 상반기 중국 상장기업의 문화엔터 관련 수입
출처:EnfoDesk
-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의 2016년 상반기 영업수입을 보면, 전 영역에 걸쳐 자체적으로 서
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텐센트엔터가 506.4억 위안(약 8조 5천억 원)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
치를 보이고 있음. 러스는 2016년 상반기 수입 100.6억 위안(약 1조 6천억 원)으로 2위를 차
지함. 게임을 기반으로 시작한 37엔터와 완메이세계 또한 영업수입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음
- 2016년 1월부터 8월까지의 중국 문화엔터 상장기업의 콘텐츠별 투자 현황을 보면, 텐센트
가 총 14건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음. 알리바바 또한 영상 콘텐츠 3건과 개인방송 2건, 음
악/스포츠/VR 각각 1건씩 총 8건의 투자를 진행함. 러스의 경우 스포츠에 집중적으로 투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각종 리그 생중계권 등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음
- 5 -
콘텐츠별 현황
[그림1] 게임 산업의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게임 산업은 문화엔터 분야에 가장 많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핵심 산업임. 스마트
폰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게임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VR/AR과 같은 신기술이 게임
과 결합하여 긍정적인 시장예측을 이끌고 있음. 반면, PC와 콘솔 등을 이용한 기존 게임
유형은 이용자수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e스포츠 등 전문화의 길로 나아가고
있음
- 텐센트게임과 왕이게임 등 경우 기존의 PC게임을 모바일 게임으로 개발하여 선보임으로
써, 이용자 연동 및 연계가 빠르게 이뤄져 모바일게임에서 다수의 이용자 확보가 신속하
게 이뤄짐. 뿐만 아니라 웹 게임을 개발하던 다양한 업체들도 모바일게임과 VR게임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6 -
[그림2] 인터넷문학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중국 문화엔터 산업 벨류체인의 가장 핵심 역할을 하는 인터넷 문학은 다양한 원작 IP를
가지고 있음. 우수한 원작 IP를 통해 드라마/영화/게임/애니 등 모든 콘텐츠로 개발이 가
능하며, 인기 원작의 경우 이미 팬덤을 형성하고 있어, 이들을 연계 콘텐츠로 이끌기에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 텐센트가 중국 문화엔터 산업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이유 또한 텐센트문학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기 때문. 텐센트 문학은 자체적으로 다수의 우수한 인터넷소설을 보유하
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게임/영화 등을 개발하고 있음. 알리바바 또한 후발주자이긴하
나 인터넷 문학 비즈니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기존에
전문적으로 인터넷 문학 플랫폼을 운영하던 장웨와 장취 또한 콘텐츠를 소비자들에게 제
공하는 수동적인 비즈니스 형태에서, 콘텐츠 제작사와의 협력을 통해 자가가 가지고 있
는 우수 원작의 IP판권을 이용한 B2B의 형태로 적극적인 비즈니스 행보를 보이고 있음
- 7 -
[그림3] 영화산업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영화산업은 문화엔터의 가장 핵심적인 콘텐츠로 일찍부터 많은 기업들이 관련 비즈니스
를 시작함. 텐센트와 알리바바, 바이두를 가리키는 B.A.T.가 모두 영화 사업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음. 텐센트는 텐센트영화의 또 다른 명칭인 펭귄픽쳐스를 중심으로 모
든 영화산업을 진행하고 있음. 또한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는
데, 웨이잉시대는 티켓팅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따중뎬핑은 티켓팅 서비
스를 포함한 이커머스 서비스를 모두 총괄하고 있는 플랫폼임. 알리바바 또한 알리영화
를 중심으로 영화산업 전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알리산하의 대표 온라인 쇼핑몰인 타오
바오를 적극 활용하여 이용자 대거 유입을 시도하고 있음. 또한 광선미디어, 화이브라더
스 등 기존 영화 제작업체와의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중국 대표 영화관
인 따디영화관과도 긴밀한 협력을 맺고 있음
- 이들은 제작/배급/영화관 등 영화산업의 전체 벨류체인에 걸쳐 자체운영이나 전문 업체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을 이끌어 나가고 있음. 현재 중국 영화산업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온라인 티켓팅 서비스는 단순한 티켓 판매 서비스 이외에도, 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여러 기업들의 인수합병 제안을 받고 있음. 또한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는 영화
관 이외의 배급 플랫폼이 되고 있어, 역시 큰 관심을 받고 있음
- 8 -
[그림4] 음악시장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중국의 대대적인 정품 음원 이용 정책이 이뤄지면서, 중국 음악 산업이 활기를 띄기 시
작했으며, 업체들 간의 정식 음원 판권 경쟁이 일어남. 중국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 유명
음원업체 혹은 가수 매니지먼트와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통해 음원 판권을 획득하고 있음.
텐센트는 현재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QQ뮤직과 쿠고뮤직, 쿠워뮤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YG
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음. 알리바바 산하의 알리뮤직은 현재 스트리밍 플랫폼으
로 샤미뮤직을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SM 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음
- APP을 통한 모바일 라디오 플랫폼 또한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용자들을 끌어 모으고 있음. 특히 역사/정치/연
예 등 주제를 가지고 혼자 혹은 두 세 명이 토크를 이루는 형식의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끌고 있음. 모바일 노래방 또한 음악 산업에서 파생된 문화엔터 산업으로 많은 이용자들이
몰리고 있음. 이러한 플랫폼은 현재 중국 문화산업에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팬덤경제
와 왕홍경제(왕홍:인터넷 스타를 가리키는 중국 신조어)를 이끄는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이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니라, 자신이 부른 노래는 SNS 형식으로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
에, 팬덤을 형성할 수 있음
- 9 -
[그림5] 애니메이션 시장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애니메이션이 어린이 혹은 마니아들에게만 소비되는 콘텐츠에서 보편화되는 과정을 밟고
있음. 즉, 비주류 문화에서 주류문화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중국 문화산업 내의
IP 가치가 급부상하면서 자본시장의 관심도가 높아졌기 때문임. 인터넷 문학과 같이 비교
적 완벽한 스토리 라인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IP개발에 큰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애
니 및 만화의 경우 이미 이미지화 되어있는 일명 ‘콘티’의 역할까지 모두 갖추고 있어
개발가능성을 더 인정받고 있음
-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발전을 이끌어 나가기 위
해 노력 중에 있는데, 만화구독 서비스의 경우는 광고 수익뿐만 아니라 유료회원 제도를
점차 도입하고 있는 추세임. 이는 음악과 동영상 사이트에서 우선적으로 유료회원 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의 유료콘텐츠 이용 습관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됨.
요우야오치가 11월 14일부터 시행하는 유료회원 서비스는 첫 달 10위안(약 1,684원) 이후,
매달 8위안(약 1,347원)을 지불하며, 무광고/VIP작품감상/선호하는 작품에 선물지급/고객센
터 우선 상담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10 -
[그림6] 모바일 1인 방송 시장 기업별 진출 현황
출처:EnfoDesk
- 1인 방송은 최근 들어 중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산업으로 많은 자본 몰리고 있음. 특히
모바일을 통한 1인 방송이 급부상하고 있는데, 다양한 형태의 APP이 생겨남. 현재는 플랫
폼의 서비스 및 마케팅으로 선두기업이 자리를 잡고 시장을 점유하는 형태를 보이며, 다수
의 플랫폼이 경쟁에서 도태되는 모습을 보임
- 모바일을 통한 1인 방송의 경우, BJ가 노래를 부르거나 댄스, 메이크업 등 엔터 형식이 가
장 많은 방송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스포츠나 역사 등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1인 토크의
형식도 시청자가 많이 모이고 있음.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은 YY, 잉커(映客), 이즐보(一直
播) , 메이파이(美拍) 등이 있음. YY와 잉커는 인기 BJ를 통한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즐보는 스타들이 특집으로 출연하여 이용자를 유입하고 있음. 메이파이의 경우, 기존에
포토샵 효과를 주는 사진 및 짧은 동영상 촬영을 전문으로 하는 어플이었으나, 모바일 1인
방송 시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자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1인 방송 생중계뿐만 아니라
유투브를 표방하여 다양한 UCC를 업로드 서비스를 하고 있음. 기존에 메이파이를 이용하
던 인구를 새로운 서비스로 유입할 수 있어, 비교적 빠르게 시장을 점유할 수 있었음
- 11 -
3. 중국 문화엔터 콘텐츠 주요 업체 현황
텐센트
[그림7] 텐센트 문화엔터 현황
- 텐센트 문화엔터은 2003년 게임 사업을 시작으로 본격화됨. 이후 음악, 애니메이션, 문학,
영화 사업을 차례로 시작하여 추진하고 있음. 문화엔터 비즈니스를 강화하기 위해 2011
년 팬 엔터의 개념을 제시하여 더욱 완벽한 벨류체인을 형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임
[그림8] 텐센트 문화엔터 협력 현황
출처:EnfoDesk
- 12 -
알리바바
[그림9] 알리바바 문화엔터 현황
- 알리바바는 2012년 디지털 음원 서비스 플랫폼인 톈톈동팅을 투자하면서부터 문화엔터 사업을
본격화함. 2014년부터 동영상 플랫폼에 대해 대대적인 투자와 사업을 진행 중에 있는데, 당시
중국 최대 동영상 플랫폼인 요우쿠와 투또에 점차적인 투자를 진행하다 1년 뒤인 2015년 11월
에 요우쿠와 투또 모두를 매입하고 허이그룹(合一集.)으로 병합함. 현재는 요우쿠투또와 연계
개발로 1인 미디어 라이펑(..)을 함께 운영 중에 있음
- IP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되면서 알리바바에서도 IP개발을 위한 사업에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하
였는데, 2015년 4월에 알리문학을 설립하여 운영 중에 있음. 또한 문화엔터산업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수를 보유하고 있는 게임 산업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2014년 6월 인터넷
브라우저 서비스 기업인 UC를 인수하면서 자연스럽게 UC산하의 모바일 게임 플랫폼인 지우요
우도 함께 인수하게 됨. 이때부터 게임, 특히 모바일 게임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그림10] 알리바바 문화엔터 협력 현황
출처:EnfoDesk
- 13 -
37엔터
[그림11] 37엔터 문화엔터 현황
- 37엔터는 2011년 웹 게임 서비스를 시작으로 게임 산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함. 1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중국 웹 게임 플랫폼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했으며, ‘중국 10대 게임 운영 플
랫폼’, ‘중국 최고 인기 플랫폼’ 등의 타이틀을 거머쥠. 37게임의 주력사업이 게임인만큼
게임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비즈니스를 확장해 나가고 있는데, 해외시장으로의 진출, VR 콘텐
츠 개발 등 추세에 맞게 빠른 변신을 시도하고 있음. 2016년부터는 영화 산업에도 관심을 보
이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음. 이는 최근 들어 중국에서 게임 캐릭터 등
을 이용한 IP개발로 영화, 웹 콘텐츠 제작이 추세를 이루고 있는 것에 반응한 것으로 보임
[그림12] 37엔터 문화엔터 협력 현황
출처:EnfoDesk
- 14 -
완메이세계
[그림13] 완메이세계 문화엔터 현황
- 완메이세계는 2004년에 설립되어 게임 연구개발/운영/판매 서비스를 통합한 기업임. 일본
의 C&C 미디어와 미국의 유니버셜 스튜디오 등 다양한 해외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발전
해나가고 있음. 현재는 게임과 문학, 영화산업에 주력하고 있는데, 이는 IP개발을 통한 연
계 상품 제작이라는 벨류체인의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실제로 완
메이세계는 영화와 게임을 연동하여 다양한 작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기에 팬덤 경제
가 함께 이뤄지면서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보이고 있음
[그림14] 완메이세계 문화엔터 구조
출처:EnfoDesk
-
- 1 -
2016. 20호
- 2 -
단신이슈
※ 중국 현지의 문화산업 단신이슈를 매일 날짜별로(10.17~10.28)정리하였습니다.
[2016년 10월 17일]
□ 정책동향 : 중국, 웹드라마 소재에 대한 규제 강화
ㅇ 2016년 10월 10일과 11일 이틀간 열린 전국 공안 문학예술 연합회
(全.公安文....合.)에서 처음으로 미디어 제작을 주제로 하여
연구토론회를 개최함
ㅇ 또한 소식에 따르면 경찰.군대.스파이물과 같은 인터넷 제작 드라
마 콘텐츠에 대한 규제가 점점 엄격해질 것이라 전해짐. 앞으로 국
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온라인 미디어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를 공안
부.국가안전부.군사위원회 정치공작부 선전국.최고인민검사원.
최고인민법원 등 관련 부문과 협력 규제할 것이라 밝힘
□ 산업동향 : 베이징, 한국 인기웹툰 <기기괴괴> 체험관 개장
ㅇ 2016년 10월 15일부터 11월 16일 한달동안 한국 인기웹툰 <기기괴
괴:성형수> 에피소드 체험관이 베이징 차오양 JOY CITY(朝.大.城)
광장에 개장함. 체험식 관람은 88위안(한화 약 1만4천원), 전체 관람
은 98위안(한화 약 1만 6천원)에 판매되고 있음. 이번 체험관은 몰입
감을 극대화한 것으로, 꿈의 공간.지하379m의 엘리베이터.암흑의
통로.013 금지구역.성형수 저장고 총 5개의 구역으로 구성됨
ㅇ 2015년 10월 23일, 중국 해피ERA미디어회사(.代..影.)는 네이버 웹툰
과 <기기괴괴:성형수> 에피소드에 대한 판권 계약을 체결하였고, 2016년 7
월 6일, 해피ERA미디어회사는 중국판 웹드라마 <성형수>를 제작한다고
발표함. 뿐만 아니라 완미세계(完美世界).Leocat Network Studio(狸猫..
工作室).네이버와 함께 동명 온라임 게임으로도 개발 중이라 밝힘
- 3 -
[2016년 10월 18일]
□ 정책동향 : 중국 문화부, 게임산업 인재 양성에 더욱 노력할 것
ㅇ 2016년 10월 15일, 중국 문화부 문화시장사(文化部文化市.司) 부사장 마
펑(.峰)은 중국 국제게임 디자인 교육 포럼(中...游....育高峰.
.)에서 최근 중국 게임산업이 안정적이고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
며, 2016년 중국 게임업계의 총 수입은 1,750억 위안(약 한화 2십9조3천7
백3십7억 원)일 것이라 예상하나, 콘텐츠 영향력과 전 세계 벨류체인의
구조로 보았을 때, 중국 국산 게임 수준은 아직 유럽 및 미국에 비해 낙
후되어 있어, 창의적 인재가 절실하다고 밝힘
ㅇ 마펑은 앞으로 게임산업을 대외문화교류 협력 범위에 포함하여, 기업이
해외 유학을 통해 선진 기술과 성숙된 제작 환경을 배울 수 있게 할 뿐
만 아니라, 온라인게임 인재 배양을 문화부와 재정부의 문화산업 창신창
의인재 육성 계획(.新.意人才培...)에 포함하여, 중국 게임산업 인재
육성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 밝힘
□ 산업동향 : 중국, 콘서트 온라인 생중계 관람인구 500만 시대 진입
ㅇ 2016년 8월 20일, 중국 인기가수 리위춘(李宇春)의 베이징 콘서트가 러스
음악(..音.)을 통해 인터넷 생중계를 진행하여, 동시 접속자수가 566만
명을 달성함
ㅇ 중국에서 최초로 콘서트 온라인 생중계를 시작한 시기는 2014년 8월로, 중
국 국민가수 왕펑(汪峰) 콘서트를 통해 진행됨. 당시 온라인 생중계 접속자
수가 4만 8천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2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냄
ㅇ 콘서트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공연업체 또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
축할 수 있게 됨. 아티스트 또한 작곡 판권.녹음 판권.온라인 전파권
등의 다양한 판권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대적인 홍보가
가능하다는데에 큰 메리트를 보임
ㅇ 중국의 넓은 지역적 특성상, 일부 지역에서만 열리는 콘서트를 고려하면
온라인 생중계는 더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더 큰 발전
을 이룰 것으로 보임
- 4 -
[2016년 10월 19일]
□ 정책동향 : 중국 문화부 중앙 기율위원회 주문화부 기율검사조 조장 교체
ㅇ 2016년 10월 19일 중국 문화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문화부와 국가문물국을
감독하는 기율검사조(中央.委.文化部...)의 조장으로 츠야오윈(.耀
云)을 임명함. 기율검사조는 문화부 상위 조직으로 문화부에서 제정하는
규정 및 제도를 정기적으로 관리감독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ㅇ 츠야오윈은 1965년 9월 산동 펑라이(山.蓬.) 출생으로 한족이며, 1986년
5월 공산당에 입당함.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중앙 기율위원회 제3기율검
사실과 제1기율검사실의 주임을 거쳐, 2014년 11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산시성 기율위원회 상무부서기를 지냄
□ 산업동향 : 2016년 4분기 중국 예능은 요리와 공개코미디 천하
ㅇ 2016년 10월 18일까지 공개된 정보에 의하면 이번 4분기 중국 예능은 요
리와 공개코미디 프로그램이 대부분. 공개코미디 프로그램의 경우, 3분기
에 동방위성TV(.方..)에서 방영한 <소호강호(笑傲江湖)> 시즌3은 성공
리에 막을 내렸으며, 2016년 9월 둘째주부터 저장위성TV(浙江..)에서
방영한 <희극총동원(喜....)>과 베이징위성TV(北京..)에서 방영한
<과계희극왕(跨界喜.王)> 또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ㅇ 텐센트미디어(....)의 자체 제작 요리프로그램 <반국적유혹(.局的.
惑)>.요우쿠투도우(.酷土豆)의 <배배라육육(拜拜.肉肉)>과 <갱왕가도(坑
王.到)>.망고TV로 자리를 옮긴 <아빠 어디가> 시즌4 등 온라인 예능이
이슈가 되고 있음. 이 밖에 러스미디어(....)을 중심으로 커플매치 리
얼리티 예능이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음
2016년 4분기 주요 동영상 플랫폼의 커플매치 리얼리티 온라인 예능
프로그램 이름 방영 플랫폼 방영 시간 프로그램 형식 게스트 비고
<골드싱글남>
(.金.身男)
망고TV 매주
토요일
- 남자 1명+여자 25명
- 실내+야외
- 연예인 남자 게스트
- 일반인 여자 게스트
25명
미국 ABC방송사 인기
리얼리티쇼인 <The
bachelor> 포맷을 수입
<여신의 선택>
(女神的..) 러스미디어
매주
토요일
- 여자 3명+남자 12명
- 실내+야외
- 연예인 여자 게스트+
단짝
- 일반인 남자 게스트
오리지널 창작
<싱글전쟁>
(.身..) 러스미디어
매주
토요일
- 연애교제+생존게임
- 실내
- 일반인 남자 게스트
50명
- 일반인 여자 게스트
50명
오리지널 창작
<미녀와 일품>
(美女..品)
요우쿠투도우
(.酷土豆)
매주
일요일
- 남녀 각 4명을 임의
로 커플 지정
- 실내+야외
- 일반인 남자 게스트
- 일반인 여자 게스트 오리지널 창작
- 5 -
[2016년 10월 20일]
□ 정책동향 : 중국 정부, 칸 MIP 행사에서 미디어설명회 직접 개최
ㅇ 2016년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4일간 진행하는 칸 MIP 행사
에서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中...院新..公室).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이 직접 주관하여 ‘중국을 느끼다(感知中.)’라는 주제로 중국 미디어 콘텐
츠 설명회를 개최함
ㅇ 이번 설명회에서 10여 곳의 중국 기업이 20여 편에 달하는 미디어 작품을 전
시함. 드라마 <해상목운기(海上牧云.)>.영화 <일구정일만구(一句.一万句)> .애니 <초급비협(超...)>.다큐 <북극, 북극(北., 北.)> 등이 포함됨
ㅇ 이번 칸 MIP 행사에서 처음으로 중국 정부가 직접 설명회를 개최한 것으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문화 콘텐츠 홍보 및 세계화 의지를 엿볼 수 있음
□ 산업동향 : 중국 1선 위성TV, 2017년 드라마 방영 라인업
ㅇ 최근 중국 미디어를 통해 2017년 1선 위성TV의 드라마 라인업이 발표됨. 현
대극.사극.전문직업극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발표됨. 후난위성은 모두
독점으로 방영되며, 나머지 위성은 ‘일극양성+독점방영’의 형태로 편성됨
2017년 1선 위성TV 드라마 라인업 (일부)
드라마 방영 플랫폼 주연 배우
후난
위성
TV
1 해상목운기 (海上牧云.) 후난위성TV 황쉬안(..).또우샤오(..)
2 고방불자상 (孤芳不自.) 후난위성TV 종한량(..良).안젤라베이비.쑨졘(..)
3 영천하 (.天下) 후난위성TV 판빙빙(范..)
4 담판관 (.判官) 후난위성TV 양미(..).황쉬안
5 엽장 (..) 후난위성TV 후거(胡歌).천롱(..).순홍레이(..雷)
저쟝
위성
TV
1 삼생삼세십리도화 (三生三世十里桃花) 저쟝위성TV.동방위성TV 양미.쟈오요팅(.又廷)
2 심야식당 (深夜食堂) 저쟝위성TV.베이징위성TV 황레이(.磊).자오요팅(.又廷)
3 외과풍운 (外科.云) 저쟝위성TV.베이징위성TV 러동(勒.).바이바이허(白百何)
4 헤이, 키드 (.,孩子) 저쟝위성TV 쟝원리(.雯.).리샤오란(李小.)
5 미인사방채지옥접전기 (美人私房菜之玉蝶.奇) 저쟝위성TV 정솽.마톈위.쟝이(.毅).우치쟝(.其江)
6 당분수대사우상복합대사 (.分手大.遇上.合大.) 저쟝위성TV 양미.옌니(..).천허(.赫)
동팡
위성
TV
1 여의전 (如懿.) 동방위성TV.장수위성TV 저우쉰(周迅).후어졘화(.建.)
2 환락송 시즌2 동방위성TV.저쟝위성TV 리우타오.왕즈원
3 랑야방 시즌2 (琅.榜2) 동방위성TV.베이징위성TV 리우하오란(.昊然).왕카이.탕옌(唐.)
쟝쑤
위성
TV
1 백록원 (白鹿原) 장수위성TV.안후이위성TV 장쟈이(.嘉.).허빙(何.)
2 낭도 (娘道) 장수위성TV.톈진위성TV 위에리나(岳.娜).위이.장샤오화(.少.)
3 맹약 (盲.) 장수위성TV 루이.쟝신
4 번성사월 (繁星四月) 장수위성TV 우치롱(.奇隆).치웨이(戚薇)
5 하지미지 장수위성TV 천쉬에동.정솽
6 상고정가 (上古情歌) 장수위성TV 황샤오밍(..明).빅토리아
7 남방에 교목이 있다 (南方有.木) 장수위성TV 미정
베이징
위성
TV
1 여명결전 동방위성TV.베이징위성TV 왕쳰위안.리우스스
2 군사연맹 장수위성TV.베이징위성TV 우슈보.리우타오.리천
3 북경사람 in 북경 (北京人在北京) 베이징위성TV 장쟈이.쟝우(姜武).리우페이치(.佩琦)
4 체도변연 (剃刀..) 베이징위성TV 원장(文章).마이리(.伊.)
5 내 인생의 전반부 (我的前半生) 베이징위성TV 마이리.러동.위안취안(袁泉)
6 응급실의사 (急.科.生) 베이징위성TV 장쟈이.왕뤄단(王珞丹).쟝산(江珊)
7 주선청운지 시즌2 (.仙.云志2) 베이징위성TV 미정
8 도묘필기 시즌2 (.墓..2) 베이징위성TV 미정
- 6 -
[2016년 10월 21일]
□ 정책동향 : 광전총국: 중국 라디오/TV,‘디지털화’에서 ‘스마트화’로
ㅇ 2016년 10월 19일 항저우에서 개최한 제24회 미디어 융합 기술 세미나에
서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과학기술사(.家新.出版...局科技司) 왕샤오
졔(王效杰) 사장은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十三五) 기간 동안 디지털화
한 라디오/TV를 스마트화로 전환하겠다고 밝힘
ㅇ 최근 광전총국이 발표한 <신문.출판.라디오.TV“제13차 5개년 계획”과
학기술 발전 규획(新.出版.播影.“十三五”科技.展..)>는 10대 발전 목
표와 10대 주요 임무 및 100개의 중요 프로젝트를 포함함. 해당 규획은 융합
발전을 중점으로, 라디오/TV의 콘텐츠 생산.단말기 서비스.감독 관리 등,
현재 디지털화한 모든 업무/공정/네트워크를 스마트화로 전환하려는 전략임
□ 산업동향 : 텐센트 만화, 판권 비즈니스의 B2B 전략으로 발전방법 모색
ㅇ 2016년 10월 20일, 텐센트는 우수한 중국산 만화IP와 애니메이션IP의 생산을
위해 제2회 텐센트 만화.애니메이션 마켓을 상하이에서 개최함. 이번 마켓에
서 텐센트는 “2D 경제”를 키워드로 내세워, 새로운 작가 및 작품을 육성하
여, 2D 산업 연맹을 결성하고 우수한 작품의 IP 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힘
ㅇ 이미 제1회 마켓에서 텐센트는 3억 위안(약 503억2,200만 원) 규모의 기금
을 투자하여, 만화와 애니메이션 작가 또는 스튜디오를 지원함
ㅇ 현재 텐센트는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텐센트애니(.
..漫)’ 플랫폼을 운영 중임. 텐센트애니의 2015년 한해 월간 활성 이용
자수는 9,0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온라인에서 연재한 애니메이션 작품은
총 22,600편으로, 그 중 애니메이션 12편은 뷰어수가 1억 뷰를 돌파함. 만
화 작품 중 29편은 뷰어수가 10억 뷰를 돌파하였으며, 현재 텐센트애니
소속 작가는 610명이 있음
ㅇ 현재 텐센트 애니의 주요 수익은 콘텐츠 유료 서비스로, 판권 비즈니스의
B2B 전략을 통해 더 큰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 7 -
[2016년 10월 24일]
□ 정책동향 : 광전총국 영화국, 2018년 중국 영화시장 더욱 개방될 것
ㅇ 2016년 10월 15일 창춘(.春)에서 막을 내린 제13회 창춘영화제에서 국가
신문출판광전총국 영화국(.家新.出版...局.影局) 장홍선(.宏森) 국
장은 2018년 중국 영화시장이 더욱 개방됨에 따라, 외국영화가 더 다양한
배급 방식을 통해 중국에서 활약하게 될 것이라 밝힘
ㅇ 2012년 중국과 미국은 WTO 영화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해협의를
체결하였는데, 이로 인해 중국에서의 외국영화 쿼터가 완화되었고, 영화
매출이 상승함. 해당 협의는 2017년에 만기될 예정
ㅇ 현재 중국은 외국영화에 대해 스크린쿼터제를 실행하고 있으며, 매년 분장
제 영화 34편과 매단제 영화 30편만을 상영하고, 분장제 영화 중 14편은
3D나 IMAX영화여야 함
□ 산업동향 : 2017년 위성 별 예능 프로그램 편성표
위성 제목 위성 제목
후난
위성
신기적해자 《神奇的孩子》
장수
위성
최강대뇌4 《最强大.4》
아회애상니 《我..上.》일차일세계 《一茶一世界》
향왕적생활 《向往的生活》세계청년설 《世界.年.》
칠십이층기루《七十二.奇.》일참대저 《一站到底》
최현중국풍 《最炫中..》열려라 참깨 《芝麻..》
정첨고수 《.尖高手》연래비성물요 《..非.勿.》
배우의 탄생 《演.的.生》초급전대2 《超...2》
백변대가 쇼 《百.大.秀》아문상애파3 《我.相..3》
매력지왕 《魅力之王》
베이징
위성
가령적가연 《嘉玲的嘉宴》
명저탐험대 《名著探..》과계빙설왕 《跨界.雪王》
갑방을방 《甲方乙方》웅묘기연 《熊猫奇.》
저장
위성
진성화대모험 《.星.大冒.》
산동
위성
육아대작전 《育.大作.》
우리는 17세 《我.17.》음식남녀 《.食男女》
수시대거신2 《.是大歌神2》수호니심방 《守..心房》
천생시우5 《天生是.5》노공학원 《老公.院》
시공애인 《.空.人》화양몽공창 《花..工.2》
동방
위성
환락희극인 《..喜.人》청춘몽공창 《.春.工.》
천뢰지전 《天.之.》요부치적과학 《了不起的科.》
극한도전 《.限挑.》전능창장 《全能唱.》
소오강호 《笑傲江湖》초강음랑 《超强音浪》
꽃보다 누나 《花.姐姐》
장시
위성
칠천애상니 《七天.上.》(가제)
꽃보다 청춘 《花.好友.》엄마 아빠와 함께 여행을 가요 《.着..去旅行》제
3시즌
소성틈지구《 笑星.地球》창객영웅회 《.客英雄.》
금야백락문 《今夜百..》추리는 10시 후에 《推理要在十点后》
작성자 《爵醒者》나는 연상왕 《我是.想王》
희극대사반 《喜.大.班》슈퍼맨 방문단 《超人...》
전능종예왕 《全能..王》
경천마법단 《.天魔法.》
도전신산자 《挑.神算子》
- 8 -
[2016년 10월 25일]
□ 정책동향 : 문화부, 2016년 애니메이션 브랜드 구축 수립
ㅇ 2016년 10월 24일 중국 문화부 문화산업사(文化部文化..司)는 2016년 애니
메이션 브랜드 구축과 보호 계획(.漫品牌建.和保...)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리스트를 선정하여 공개함. 이번 계획에서 창작 프로젝트와 작품 프로
젝트로 각각 24개와 20개의 브랜드가 선정됨
ㅇ 해당 계획은 중국 정부가 중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중국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브랜드의 구축과 보호를 위해 해마다 진행하고 있음.
이는 브랜드로서 개발 가치가 있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브랜드
의 구축과 발전을 통해 지식재산권 보호하고 홍보하는 과정에 대한 금전적
지원을 함
□ 산업동향 : 소후 & 광선미디어 & 완미세계 & 러스 3분기 재정보고
ㅇ 소후 : 최근 소후는 3분기 재정보고를 진행. 보고에 따르면 3분기 4.11억 달
러(약 4,658억 원)의 영업수입을 기록했으며, 이는 동기대비 21%로 하락한
수치라고 발표함. Non-GAAP(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르면, 소후의 순이익은 약
6,500만 달러(약 736억 원)으로 조사됨. 소후산하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인
소후TV의 경우 3분기 광고수입이 1.7억 위안(약 284억 원)으로 조사됨. 소후
에서 자체제작한 웹드라마의 경우 보통 4개의 15초 광고가 들어가며, 전문
제작업체에서 제작한 콘텐츠의 경우 2개의 15초 광고가 들어감
ㅇ 광선미디어 : 10월 24일 저녁, 광선미디어도 3분기 재정보고를 진행함. 영업수
입은 11.87억 위안(약 1,983억 원)으로, 동기대비 41.79% 증가함. 상장회사 주주
에게 돌아간 순이익은 5.8억 위안(약 969억 원)으로 동기대비 216.55% 증가함
ㅇ 완미세계 (完美世界) : 중국의 게임 대표 회사인 완미세계의 3분기 재정보고
를 진행. 영업수입은 14.27억 위안(약 2,384억 원)으로 동기대비 20.42% 증가
함. 순이익은 3.35억 위안(약 559억 원)으로 전년대비 173.05% 증가함. 2016
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의 총 순이익은 7.17억 위안(약 1,198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0.01% 증가함
ㅇ 러스 : 영업수입 67억3,200만 (약 1조 1,374억 원) 위안, 동기대비 71.99% 증가함. 순이
익은 2.09억 위안(약 349억 원)으로, 동기대비 70.55% 증가함. 2016년 1분기부터 3분기
영업수입은 167.95억 위안(약 2조 8,069억 원)으로, 전년대비 100.54% 증가함
- 9 -
[2016년 10월 26일]
□ 산업동향 : 중국판 <진짜 사나이> 시즌2, 시청률 1위 기록
ㅇ 후난위성을 통해 10월 21일부터 첫 방송을 시작한 <진짜 사나이(.正男子.)> 시
즌2가 중국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 <진짜 사나이>는 매주 금요일 저
녁 8시 20분에 후난위성, 망고TV, 텐센트에서 동시 방영되고 있음
ㅇ 첫 방송 당일 후난위성에서는 약 2%의 시청률로 동시간대 1위를 기록함. 10월 26
일 현재 망고TV 1.43억 뷰, 텐센트 1.8억 뷰를 달성함. 웨이보에서 <진짜 사나이>
해시태그가 달린 게시물은 285만 개를 돌파했고, 총 조회 수는 38.5억으로 추산됨
ㅇ 인민해방군공군의 협력 하에 촬영한 <진짜 사나이2>는 전 시즌에는 없었던 여군
의 투입에 시청자들의 관심이 높아짐. 중국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 따르면, <진짜
사나이>의 방영을 처음 시작한 2015년부터 지원자가 25% 증가하고, 그 중 대학
생의 비율이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보아 예능 <진짜 사나이>가 중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평가하고 있음
□ 산업동향 : 일본 게임IP를 개발한 뮤지컬 상하이에서 공연 예정
ㅇ 일본 게임을 리메이크한 한 뮤지컬 <도검난무:막말천랑전>(刀..舞:幕:末天狼.)
이 내년 1월 상하이에서 공연을 진행함. 2D IP를 각색한 ‘2.5D 뮤지컬’이 2015
년부터 중국에 들어오며 점점 중국 내 주류문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ㅇ <도검난무>의 제작사 니트로플러스의 코사카 타카시키 대표는 게임을 뮤지컬화
하기 위해, 게임 자체의 스토리성을 대폭 강화하였다고 설명함. 또한 중국에 일
본 2D 애니의 잠재적 팬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일본에서 공개되지 않은 작품이
중국에서 먼저 공개될 수 있다고 설명함
ㅇ 2012년 중국과의 정치적 문제로 일본의 뮤지컬 공연이 드문 상황에서 일본게임
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이 공연하는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평가하고 있음
<진짜 사나이> 시즌2 도검난무 뮤지컬
- 10 -
[2016년 10월 27일]
□ 정책동향 : 광전총국, 2016년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지원
ㅇ 2016년 10월 25일,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2016년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지원 프로젝트(.....目.容建....金扶持.目)의 결과를
발표함. 이번 프로젝트는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퀄리티의 향상과 전통미
디어와 뉴미디어의 융합 발전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매년 지원
ㅇ 해당 프로젝트는 우수 창작 작품 프로젝트 부문과‘차이니즈드림’창작
작품 및 플랫폼 부문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콘텐츠 플랫폼의 경우 방문자
수 TOP10에게 별도의 지원을 함
2016년 '차이니즈드림'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 부문
구분 지원 대상
중앙정부의
인터넷방송사
(5곳)
CNTV(中.....台) / CNBN(央..播....台) / CIBN(中....播....台),
CENTV(中..育....台) / 뎬잉망(.影.)
성급위성의
인터넷방송사
(25곳)
베이징NTV / 톈진NTV / 허베이NTV / 산시NTV / 랴오닝NTV / 지린NTV / 헤이롱쟝NTV /
장쑤RNTV / 저장NTV / 안후이NTV / 푸젠NTV / 장시NTV / 산동NTV / 허난NTV / 후베이NTV /
후난NTV / 광동NTV / 하이난NTV / 충칭,NTV / 스촨NTV / 윈난NTV / 산시NTV / 간쑤NTV /
닝샤NTV / 도시연합NTV
온라인 플랫폼
(12곳)
텐센트 / 소후 / 요우쿠 / 투또우 / 아이치이 / PPTV / PPS / 러스망 / 펑싱망(.行.) / Bilibili
/폭풍비디오(暴.影音) / 톈샨망(天山.)
□ 산업동향 : 영상제작사 중, 상장회사 47개의 상반기 영업매출 60억위안 추정
ㅇ 방송 전문 미디어 기관인 예은(.恩)의 조사에 따르면, 드라마제작허가증을
가지고 있는 1만개 기업 중, 47개 상장회사의 2016년 상반기 드라마 영업매
출은 약 60억 위안(약 1조 100억 원)으로, 동기대비 24% 성장한 것으로 조사
영상제작 상장기업 TOP5
영업수입 TOP5 성장률 TOP5 총 이익률 TOP5 단독수입 TOP5 작품수 TOP5
1
화처미디어
(.策影.)
10.34억 위안
(약 1.730억 원)
1
츠원미디어
(慈文.媒)
804.76%
1
중난문화
(中南文化)
60.71%
1
츠원미디어
(慈文.媒)
1.32억 위안
(약 221억)
1
화처미디어
(.策影.)
8부 / 347편
2
졔청주식
(捷成股.)
4.2억 위안
(703억 원)
2
루강문화
(鹿港文化)
107%
2
탕더미디어
(唐德影.)
57.80%
2
화처미디어
(.策影.)
1.29억 위안
(약 216억)
2
장성미디어
(.城影.)
5부 / 186편
3
화루바이나
(..百.)
2.38억 위안
(474억 원)
3
중난문화
(中南文化)
59.61%
3
완메이스졔
(完美世界)
57.60%
3
화루바이나
(..百.)
1.19억 위안
(약 199억)
3
루강문화
(鹿港文化)
5부 / 186편
4
화웨이문화
(.威文化)
2.38억 위안
(474억 원)
4
완메이스졔
(完美世界)
29.08%
4
화웨이문화
(.威文化)
45.40%
4
탕더영상
(唐德影.)
1억 위안
(약 167억)
4
신문화
(新文化)
4부 / 177편
5
탕더미디어
(唐德影.)
1.98억 위안
(331억 원)
5
화처미디어
(.策影.)
27.20%
5
화루바이나
(..百.)
43.90%
5
완메이스졔
(完美世界)
0.81억 위안
(약 135억)
5
졔청주식
(捷成股.)
5부 / 166편
- 11 -
[2016년 10월 28일]
□ 정책동향 : 광전총국, 2016년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지원 프로젝트 명단
ㅇ 2016년 10월 25일,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에서 발표한 ‘2016년 인
터넷 동영상 콘텐츠 지원 프로젝트(.....目.容建....金扶持.
目)’의 결과 중, 인터넷 동영상 우수 창작 작품 명단 총 74편을 공개.
그 중 드라마와 예능만 편집하여 정리함. 선발된 인터넷 예능프로그램
중 후난 쾌락양광의 <명성대정탐>은 JTBC의 <크라임씬>의 포맷을 수입
하여 제작한 것임
2016년 인터넷 동영상 우수 창작 작품 프로젝트 (주요부문 위주 편집)
구분 프로젝트 지원 대상
인터넷 드라마
대상
최호적아문 (最好的我.)
베이징 아이치이 과기유한회사
(北京.奇.科技有限公司)
인터넷 영화 홍색기질 (.色..) 신화망 주식유한회사 (新..股.有限公司)
인터넷
방송프로그램
황하대합창 (.河大合唱) CNTV (中.....台)
인터넷
드라마
1등 심야택시2 (午夜.程.2)
허이 정보과기(베이징)유한회사
(合一信息科技有限公司)
2등 그가 오면, 눈을 감아 (他.了,..眼)
베이징 소후 인터넷 정보서비스 유한회사
(北京搜狐互..信息服.有限公司)
3등
괴로울 17세 (.痛的十七.) 허이 정보과기(베이징)유한회사
수재아상포적형제 (睡在我上.的兄弟)
러스망 정보기술 주식유한회사
(...信息技.股.有限公司)
인터넷 예능프로그램
@춘완 (@春.) CNTV
명성대정탐 (明星大.探)
후난 쾌락양광 후동위러 미디어유한회사
(湖南快..光互....媒有限公司)
□ 산업동향 : 중국 연극 시장, 2020년 규모가 60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 예상
ㅇ 중국 대표 연극 제작사인 카이신마화(.心麻花)의 인기 연극을 각색한 영
화 <려득수(.得水)>가 2016년 10월 28일 개봉함. 카이신마화는 이미 2015
년에 동명 연극을 영화화한 <하락특번뇌(夏洛特.., Goodbye Mr.Loser)>
를 통해 14억 위안(약 2,360억 원)을 기록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둠
ㅇ 연극IP의 영화화에 대한 성공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자본 투자가
적극적일 것으로 전망.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연극시장의 규모는
22억9,600만 위안(약 3,8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 상승함. 향후 5년간
20%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20년 연극시장의 규모는 60억 위안(약
1조 118억 원)에 달할 것이라 예상함
- 12 -
중국사무소 담당자 연락처
김기헌 소장 : +86-10-6501-9971 / gihun@kocca.kr
이향옥 대리 : +86-10-6585-9361 / hiangok@kocca.kr
이단단 주임 : +86-10-6501-9951 / lidandan@kocca.kr
정효정 주임 : +86-10-6501-9355 / hyojung@kocca.kr
김상미 주임 : +86-10-6501-9973 / kimsang@kocca.kr
- 13 -
각 장르별 차트
- 각 차트의 내용은 해당 자료출처에 기반 한 내용이므로 참고자료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0월 넷째 주 드라마 시청률 TOP10
순위 프로그램 방송국 시청률(%)
1 노새와 금자(.子和金子) 장수위성 0.950
2 달팽이에게도 사랑이 있다면
(如果.牛有.情) 동방위성 0.627
3 바보전기2 (...奇) 충칭위성 0.573
4 홍기만권서풍(.旗漫卷西.) 동방위성 0.554
5 아득한 거리(..的距.) 안휘위성 0.527
6 붉은별이 빛나는 중국(.星照耀中.) 후난위성 0.525
7 와호(.虎) 꾸이저우위성 0.522
8 정위(政委) 랴오닝위성 0.487
9 홍색호위(.色..) 베이징위성 0.482
10 중국식관계(中.式.系) 장시위성 0.477
자료출처: CSM35
10월 넷째 주 예능 시청률 TOP10
순위 프로그램 방송국 시청률(%)
1 희극총동원(喜....) 저장위성 2.244
2 복면가수를 맞춰라(蒙面唱.猜猜猜) 장수위성 1.647
3 진정한 남자(.正的男子.) 후난위성 1.602
4 창장불간단(唱.不..) 장수위성 1.477
5 복면가수 카운트다운(蒙面唱.倒..) 동방위성 1.441
6 천뢰지전(天.之.) 장수위성 1.360
7 쾌락대본영(快.大本.) 후난위성 1.267
8 12도봉미(12道.味)3 저장위성 1.255
9 연래비성물요(..非.勿.) 장수위성 1.206
10 복면가수를 맞춰라 재방송 장수위성 1.196
자료출처: CSM35
- 14 -
11월 첫째 주 박스오피스 TOP10
순위 영화 상영날짜
누적 티켓수입
(위안)
1 Operation Mekong(湄公河行.) 9월 30일 11.69억
2 Mechanic: Resurrection 10월 21일 3.33억
3 Doctor Strange 11월 4일 3.12억
4 Mr. Donkey(.得水) 10월 28일 1.35억
5 Inferno 10월 28일 1.29억
6 Trolls 10월 28일 4,678만
7 Hide and Seek(捉迷藏) 11월 4일 4,136.7만
8 짱구는 못말려 11월 4일 1,684.1만
9 Someone To Talk To(一句.一万句) 11월 4일 1,285.9만
10 Making Family(非常父子.) 11월 4일 559.9만
자료출처: Mtime
10월 넷째 주 온라인게임TOP10
자료출처:바이두(百度.云榜)
순위 게임명 검색지수
1 나루토 (火影忍者ol) 87,504
2 탄탄당 (..堂) 49,529
3 공성략지 (攻城掠地) 48,114
4 현무시대 (炫舞.代) 46,221
5 신선도 (神仙道) 33,506
6 아케이드 게임 삼국 (街机三.) 27,721
7 전기패업 (.奇..) 27,628
8 대천사의 검 (大天使之.) 25,175
9 신기보배 (神奇..) 19,041
10 열혈해적왕 (.血海.王) 18,999
- 15 -
11월 첫째 주 음원(1) TOP10
순위 곡명 아티스트
1 연예인(演.) 쉐즐첸(薛之.)
2 못난이(丑八怪) 쉐즐첸(薛之.)
3 고백풍선(告白.球) 주걸륜(周杰.)
4 행운(多幸.) 한안쉬(.安旭)
5 미소가 아름다워( 微微一笑..城) 양양(.洋)
6 faded Alan Walker
7 숲속의 새 (林中.) 거린(葛林)
8 너 없인 너무 외로워(.有.陪伴.的好孤.) 멍란(.然)
9 묵(默) 나잉(那英)
10 if you 빅뱅
자료출처:QQ뮤직(QQ音.)
11월 첫째 주 음원(2) TOP10
자료출처: 왕이클라우드음악(.易云音.)
순위 곡명 아티스트
1 고백풍선(告白.球) 주걸륜(周杰.)
2 나의 스케이드보드(我的滑板鞋) 화천위(.晨宇)
3 청두(成都) 쟈오레이(.雷)
4 연예인(演.) 쉐즐첸(薛之.)
5 내가 어떻게 했으면 좋겠어(..要我..) 쉐즐첸(薛之.)
6 어른이 될 수 없어(无法.大) 쟈오레이(.雷)
7 딱 좋은(..好) 쉐즐첸(薛之.)
8 이 세상에서 누가 너의 이야기를 들어줄까?
(全世界....) 쉐즐첸(薛之.)
9 못난이(丑八怪) 쉐즐첸(薛之.)
10 불장난 블랙핑크
- 16 -
K-Content Biz Center 안내
운영 목적
ㅇ 한국 콘텐츠기업의 중국진출에 필요한 맞춤형 현지종합서비스* 제공
공간 구성
ㅇ 1층 (기획전시공간) : 제작발표회, 언론발표회, 공동제작 체결식 등 가능, 수용인원 약
40~50명 내외
ㅇ 3층 (스마트오피스) : 북경 현지에서 필요한 사무 및 회의 공간 지원
※ 회의실 3개(10인/8인/4인), 사무 공간(16석), 라운지 등으로 구성.
1층 기획전시 공간 3층 스마트오피스
이용 안내
ㅇ 대상: 중국 진출을 원하는 모든 한국콘텐츠기업
ㅇ 일정: 2016년 12월 초부터 (※ 세부 일정 추후 별도 통지)
ㅇ 예약: 비즈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 (※ 홈페이지 추후 별도 안내)
문의 사항 (※ 세부 문의사항은 언제든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ㅇ 이향옥 대리 (전화: 010 6585 9361, 이메일: hiangok@kocca.kr)
ㅇ 김상미 주임 (전화: 010 6501 9973, 이메일: kimsang@kocca.kr)
- 17 -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원가입 안내
안녕하십니까,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장 김기헌입니다.
2015년 2월 12일 한국 콘텐츠사업자의 중국진출 활성화를 위한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
협의회』를 설립하였습니다. 앞으로 협의회는 한국과 중국의 콘텐츠 관련 민간사업자간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새로운 중국의 한류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펼쳐나갈 계획입니다.
중국진출에 관심이 있는 한국 콘텐츠사업자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 다 음 -
1. 명 칭 :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2. 회원자격 : 중국에 이미 진출하였거나 혹은 진출하려는 한국 콘텐츠산업 종사자
3. 회원혜택 : 중국진출 핵심정보 교류 / 한중 협력사업 참여 / 중국진출 컨설팅 등
4. 모집기간 : 연간 상시 모집
5.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입회원서 작성하여 이향옥 대리 [hiangok@kocca.kr]에게 제출
6. 협의회 현황
ㅇ 임원구성
- 회 장(1명) : 북경751라이브탱크 문화창의 전시공연장 박철홍 대표
- 부회장(2명) : 아이코닉스 차이나 이병규 대표; GH E&M 차영회 대표
ㅇ 회원 현황 : 총 170명 (2016년 11월 기준)
- 18 -
입 회 원 서
사무국장 회장
성 명
한글 생년월일
漢字
영문 성 별 □ 남 □ 여
현거주지 □ 중국 □ 한국 E-Mail
연 락 처 □ Tel: □ Mob:
회 사 명 업 종
설 립 일 사업자구분 □ 개인 □ 법인
회사주소
주요실적
본인은 귀 협의회의 설립목적에 동의하고 협회 회칙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회원의 의무와
준수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서약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입회원서를 제출합니다.
20 년 월 일
신청인: (인)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장 귀하
- 19 -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현지자문단 운영안내
□ 자문단 개요
ㅇ 명칭 :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현지자문단
ㅇ 위촉 임기 : ‘16. 5월~’17. 4월(위촉일로부터 1년)
ㅇ 분야 : 마케팅/법률/회계/방송/게임 5개 분야
지역 분야 성 명 소속 / 직위 비고
중국
법률 김성훈 북경국연컨설팅/박사 중국투자업무전반
(법률, 지재권, 법인설립 등)
법률 권대식 법무법인 태평양/변호사 중국M&A
법률 이수철 안걸변호사사무소/변호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법률 임훈기 인베스트베이징컨설팅/박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법률 허욱 율촌법무법인/변호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회계 한정훈 ChinaTaxlow/회계사 중국회계/조세
마케팅 이병규 아이코닉스 차이나/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만애캐)
마케팅 차영회 GH Entertainment & Media/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방송)
마케팅 .一.
(루이펑) Grand Vision Media/CEO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홍보/마케팅)
마케팅 박철홍 751 Live Tank/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전시)
게임 이승원 다음카카오/중국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게임)
방송 렁송
(冷.) 사회과학원/박사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방송)
□ 자문단 운영방식 (상시 컨설팅)
ㅇ (상담 접수) 한국의 기업, 개인, 프로젝트 => 중국사무소
ㅇ (컨설팅 의뢰) 중국사무소 => 분야별 현지 자문위원
ㅇ (컨설팅) 이메일, 통화, 직접 면담(필요시) 등의 방법으로 상담
ㅇ (상담보고서 제출) 자문위원, 상담결과 보고서(2~3p.) 중국사무소에 제출
ㅇ (상담료 지급) 중국사무소 상담내역 확인 및 관련 서류 제출 => 중국사무소 => 자문
위원 ※ 예산한도 범위 내에서 운영
□ 세부내용 문의
ㅇ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현지자문단 운영담당
이단단 주임 (전화: 86-10-6501-9951, 이메일: lidandan@kocca.kr)
- 20 -
한국콘텐츠진흥원 위챗 공식계정 K-Content
□ 목적
ㅇ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을 활용하여 위챗 KoreaContent 계정의 한국콘텐
츠 홍보를 통한 한국콘텐츠기업 중국 시장 진출 마케팅 플랫폼 구축
□ 주요내용
ㅇ 메인 콘텐츠 :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 중국어 버전의 음악, 게임, 드라마
세 개 분야 총 80편 작품 및 회사 소개
- <게임> : 작품 소개, 회사 소개, 연락처 등
- <음악> : 회사 소개, 주요 가수 및 앨범 소개, 연락처 등
- <드라마> : 시나리오 소개, 제작사, 배급사, 감독, 주연배우 등 소개, 연락처 등
ㅇ 서브 콘텐츠1 :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 중국어 버전의 애니메이션메이션 분
야 총 50편 작품 및 회사 소개
- <애니메이션메이션> : 작품 소개, 회사 소개, 주요 가수 및 앨범 소개, 연락처 등
ㅇ 서브 콘텐츠2 :
- 재중국 한국 콘텐츠사업자 협의회 회원사 기업소개 및 소식
- 한중 마켓 활동, 공연, 스타 소식 및 팔로우 수 증가에 필요한 이벤트 등
※ 사진 및 로고 사용
※ K-Content 공식계정에 프로젝트 및 회사소개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사무소
이단단 주임(전화: 86-10-6501-9951, 이메일: lidandan@kocca.kr)에게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 21 -
2015 중국 콘텐츠기업 디렉토리북
□ 목적
ㅇ 한국콘텐츠기업의 실질적 중국 진출을 위한 중국 콘텐츠기업 핵심정보 제공
※ 다운로드: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occa.kr, 콘텐츠지식→해외시장동
향→번호(13121)B.A.T/(13122)게임/(13123)방송/(13124)애니메이션/(13125)영
화)
□ 주요내용
ㅇ 게임, 방송, 영화, 애니메이션메이션 네 개 주요 분야 및 최근 가장 큰 이슈로 되고
있는 B.A.T 기업 관련 중국콘텐츠 주요기업 132개 심층정보 제공
- <각 장르별 산업 현황 분석> : 경쟁 구도 현황, 경쟁 특징 분석, 경쟁 구조, 기업 발
전 문제점, 기업 발전 대책, 정책 발전 분석, 업계 관리 체제, 업계 정책 법규, 업계
발전 계획 등
- <132개 중점기업 경영현황 분석> : 기본정보, 기업경영현황, 기업경쟁력, 성공사례 분석
※ 부록 <1,215개 중국 콘텐츠 기업 리스트&기본정보> : 회사명칭, 연락처, 주소, URL 등
분야 장르별 주요기업
게임(30개)
종합 27개
온라인배급 3개
방송(28개)
종합 7개
유통 12개
드라마 제작 & 배급 6개
예능 제작 & 배급 3개
애니메이션메이션(41
개)
종합 11개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배급 2개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유통 10개
TV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 4개
만화제작 3개
만화유통 2개
모바일만화 제작 & 배급 6개
모바일만화 유통 3개
영화(3개)
제작&배급 10개
유통 10개
배급 10개
B.A.T(3개)
텅쉰 1개
알리바바 1개
바이두 1개
- 22 -
[별첨 1] 2015 중국콘텐츠기업 디렉토리 북 장르별 목차
<게임>
1. 게임산업 구조 분석(P5-P10)
1.1 게임산업분석
1.2 산업발전문제
1.3 산업발전대책
1.4 산업정책분석
2. 게임산업 주요업체 경영상황분석(P16-136)
2.1 종합성 업체 분석(p16-123)
2.1.1 텐센트홀딩스유한회사(p16-19)
2.1.2 알리바바인터넷기술유한회사(p20-23)
2.1.3 바이두온라인인터넷기술유한회사(p24-27)
2.1.4 네트이즈회사(p28-31)
2.1.5 퍼펙트월드(베이징)인터넷기술유한회사(p32-35)
2.1.6 상하이샨다인터넷발전유한회사(p36-39)
2.1.7 상하이자이언트인터넷과기유한회사(p40-43)
2.1.8 산치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상하이)과기유한회사(p44-47)
2.1.9 베이징쿤룬완웨이과기주식유한회사(p48-51)
2.1.10 베이징치후과기유한회사(p52-55)
2.1.11 차이나모바일게임앤엔터테인먼트그룹유한회사(p56-59)
2.1.12 심천시촹멍톈디과기유한회사(p60-63)
2.1.13 네트드래곤웹유한회사(p64-67)
2.1.14 심천시둥팡보야과기유한회사(p68-71)
2.1.15 심천머린과기주식유한회사(p72-75)
2.1.16 베이징페이류쥬텐과기유한회사(p76-79)
2.1.17 유주 인터랙티브 주식유한회사(p80-83)
2.1.18 심천 7ROAD 과기유한회사(p84-87)
2.1.19 베이징장취과기주식유한회사(p88-91)
2.1.20 베이징창유스다이디지털기술유한회사(p92-95)
2.1.21 라인콩인터랙티브그룹유한회사(p96-99)
2.1.22 토크웹정보시스템주식유한회사(p100-103)
2.1.23 포게임홀딩스유한회사(p104-107)
2.1.24 심천중칭바오인터랙티브인터넷주식유한회사(p108-111)
2.1.25 베이징롄종인터랙티브인터넷주식유한회사(p112-115)
2.1.26 페이위과기국제유한회사(p116-119)
2.1.27 베이징광위온라인과기유한책임회사(p120-123)
- 23 -
2.2 온라인 게임 배급업체(p125-136)
2.2.1 화웨이과기주식유한회사(p125-128)
2.2.2 상하이 TaoMee인터넷과기유한회사(p129-132)
2.2.3 UYOUNG문화미디어주식유한회사(p133-136)
3. 게임 업체 리스트(p139-190)
3.1 온라인게임 제작업체 리스트(p139-148)
3.2 온라인 게임 배급업체 리스트 (p149-155)
3.3 온라인게임 유통업체 리스트(p156-160)
3.4 모바일게임 제작업체 리스트 (p161-166)
3.5 모바일게임 배급업체 리스트 (p167-172)
3.6 모바일게임 유통업체 리스트 (p173-176)
3.7 PC 게임 제작업체 리스트(p177-181)
3.8 PC 게임 배급업체 리스트(p182-186)
3.9 PC 게임 유통업체 리스트(p187-190)
<방송>
1. 방송산업분석(P6-P24)
1.1 방송산업 현황분석
1.2 산업발전에 존재하는 문제점
1.3 산업발전의 대응책
1.4 산업정책분석
1.5 뉴미디어산업 발전현황
2. 방송산업 주요기업 경영상황 분석 (P28-163)
2.1 종합성기업 (p28-56)
2.1.1 CCTV(p28-32)
2.1.2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33-36)
2.1.3 베이징 ENLIGHT미디어주식유한회사(p37-40)
2.1.4 베이징 Hualu Baina필름주식유한회사(p41-44)
2.1.5 차이나텔레비전미디어주식유한회사(p45-48)
2.1.6 베이징에너지영상전파주식유한회사(p49-52)
2.1.7 TVZone미디어유한회사(p53-56)
2.2 드라마 제작업체&배급업체(p58-81)
2.2.1 저장 Huace영상주식유한회사(p58-61)
2.2.2 베이징하이룬영화유한회사 (p62-65)
2.2.3 베이징샤오마번텅영화유한회사 (p66-69)
2.2.4 상하이신원화미디어그룹유한회사(p70-73)
2.2.5 창청영상주식유한회사(p74-77)
2.2.6 저장 Talent영상물주식유한회사(p78-81)
- 24 -
2.3 예능 프로그램 제작업체&배급업체(p83-94)
2.3.1 장쑤위성TV(p83-86)
2.3.2 베이징란써훠옌문화미디어유한회사(p87-90)
2.3.3 톈위미디어주식유한회사(p91-94)
2.4 다큐멘터리제작업체&배급업체(p96-111)
2.4.1 중앙뉴스다큐멘터리제작업체(p96-99)
2.4.2 베이징 레이허미디어(p100-103)
2.4.3 베이징 산둬탕미디어주식유한회사(p104-107)
2.4.4 베이징 징상문화전파유한회사(p108-111)
2.5 방송유통업체(방송국과 뉴미디어) (p111-163)
2.5.1 후난위성TV(p113-118)
2.5.2 저장위성TV(p119-123)
2.5.3 텐센트홀딩스유한회사(p124-127)
2.5.4 바이두온라인인터넷기술유한회사(p128-131)
2.5.5 LeTV(p132-135)
2.5.6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 (p136-139)
2.5.7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주식유한회사(p140-143)
2.5.8 봉황뉴미디어(p144-147)
2.5.9 iQIYI(p148-151)
2.5.10 심천시 Xunlei인터넷기술유한회사(p152-155)
2.5.11 베이징 Baofeng과기주식유한회사(p156-159)
2.5.12 Ku6미디어유한회사(p160-163)
3. 방송관련 기업 리스트(p166-194)
3.1 드라마 제작업체(p166-173)
3.2 드라마 배급업체(p174-180)
3.3 예능 프로그램 기업(p181-184)
3.4 다큐멘터리 기업(p185-188)
3.5 방송사(p189-192)
3.6 뉴미디어 기업(p193-194)
<영화>
1. 영화 업계 분석(P6-P16)
1. 영화 업계 분석(P6-P16)
1.1 영화 산업 현황 분석
1.2 산업 발전에 존재하는 문제점
1.3 산업 발전 대책
1.4 산업 정책 분석
- 25 -
2. 영화 업계 중점 기업 경영현황 분석(P19-136)
2.1 영화제작업체&배급업체(p19-58)
2.1.1 차이나필름주식유한회사(p19-22)
2.1.2 HUAXIA필름배급유한책임회사(p23-26)
2.1.3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27-30)
2.1.4 저장 Huace영상주식유한회사(p31-34)
2.1.5 BONA필름그룹유한회사(p35-38)
2.1.6 SMI 홀딩스그룹유한회사(p39-42)
2.1.7 베이징 ENLIGHIT미디어주식유한회사(p43-46)
2.1.8 오렌지스카이 골든하베스트엔터테인먼트(그룹)유한회사(p47-50)
2.1.9 베이징 Hualu Baina필름주식유한회사(p51-54)
2.1.10 저장 Talent영상물주식유한회사(p55-58)
2.2 영화유통업체(영화관체인) (p60-99)
2.2.1 완다시네마주식유한회사(p60-63)
2.2.2 차이나필름 Stellar시네마유한회사(p64-67)
2.2.3 Dadi시네마유한회사(p68-71)
2.2.4 상하이 랜허시네마유한책임회사(p72-75)
2.2.5 차이나필름남방영화신간선유한회사(p76-79)
2.2.6 광저우 진이주장시네마유한회사(p80-83)
2.2.7 저장 타임시네마주식유한회사 (p84-87)
2.2.8 베이징 뉴필름연합상영유한책임회사(p88-91)
2.2.9 HG엔터테인먼트시네마유한회사(p92-95)
2.2.10 차이나필름디지털시네마(베이징)유한회사(p96-99)
2.3 영화유통업체(뉴미디어) (p101-140)
2.3.1 텐센트 홀딩스유한회사(p101-104)
2.3.2 바이두(p105-108)
2.3.3 LeTV(p109-112)
2.3.4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p113-116)
2.3.5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p117-120)
2.3.6 봉황뉴미디어(p122-124)
2.3.7 iQIYI (p125-128)
2.3.8 Xunlei인터넷(p129-132)
2.3.9 Baofeng테크놀로지(p133-136)
2.3.10 Ku6미디어(p137-140)
3. 영화 기업 리스트 (p143-164)
3. 영화 세분화 시장 기업 리스트 (p143-164)
3. 1 영화제작업체 리스트(p143-150)
3. 2 영화배급업체 리스트(p151-157)
3. 3 영화유통업체 리스트(p158-162)
3 .4 뉴미디어 기업 리스트(p163-164)
- 26 -
<애니메이션메이션>
1.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분석(P6-P18)
1.1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현황 분석
1.2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발전문제
1.3 업계 정책 분석
2. 애니메이션메이션 중점 기업 경영상황 분석(P22-198)
2.1 종합성 기업 분석(p22-66)
2.1.1 광둥 Alpha애니메이션메이션 문화주식유한회사(p22-26)
2.1.2 심천 화챵문화과학기술그룹 주식유한회사(p27-30)
2.1.3 저장 중난그룹 카툰영상유한회사(p31-34)
2.1.4 Jiang Toon애니메이션메이션주식유한회사(p35-38)
2.1.5 수저우 Ori애니메이션메이션 유한회사(p39-42)
2.1.6 베이징 칭칭수애니메이션메이션과학기술유한회사(p43-46)
2.1.7 화워이과학기술유한회사(p47-50)
2.1.8 상하이 TaoMee인터넷과학기술유한회사(p51-54)
2.1.9 광저우 Creative Power Entertaining(p55-58)
2.1.10 상하이 하마애니메이션메이션 디자인유한회사(p59-62)
2.1.11 베이징 드림캐슬 문화유한회사(p63-66)
2.2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배급업체(p67-74)
2.2.1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67-70)
2.2.2 베이징ENLIGHT미디어주식유한회사(p71-74)
2.3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유통업체(p76-115)
2.3.1 완다시네마주식유한회사(p76-79)
2.3.2 차이나필름 Stellar시네마유한회사(p80-84)
2.3.3 Dadi시네마유한회사(p85-87)
2.3.4 상하이 랜허시네마유한책임회사(p88-91)
2.3.5 차이나필름남방영화신간선유한회사(p92-95)
2.3.6 LeTV(p96-99)
2.3.7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p100-103)
2.3.8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p104-107)
2.3.9 베이징iQIYI 과학기술유한회사(p108-111)
2.3.10 UYOUNG문화미디어유한회사(p112-115)
2.4 TV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업체(p117-140)
2.4.1 CCTV(p117-125)
2.4.2 후난 위성TV(p126-131)
2.4.3 저장 위성TV(p132-136)
2.4.4 장쑤 위성TV(p137-140)
- 27 -
2.5 만화도서 발행업체(p142-147)
2.5.1 중국화보출판사(p142-143)
2.5.2 현대출판사(p144-145)
2.5.3 남해출판회사(p146-147)
2.6 만화도서 유통업체(p149-160)
2.6.1 베이징징둥세기무역유한회사(p149-154)
2.6.2 베이징당당망정보기술유한회사(p155-160)
2.7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 제작업체&배급업체(p162-185)
2.7.1 Talkweb정보시스템주식유한회사(p162-165)
2.7.2 푸졘중커야촹통신과학기술유한회사(p166-169)
2.7.3 샤먼Xtone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0-173)
2.7.4 톈진선제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4-177)
2.7.5 샤먼BLUEBIRD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8-181)
2.7.6 푸졘Topani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82-185)
2.8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업체(p187-198)
2.8. 1차이나모바일(p187-190)
2.8. 2차이나텔레콤(p191-194)
2.8. 3차이나유니콤(p195-198)
3. 애니메이션메이션 세분화 시장 기업리스트(p199-251)
3.1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제작업체(p201-205)
3.2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발행업체(p206-209)
3.3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배급업체(p210-216)
3.4 TV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17-220)
3.5 TV애니메이션메이션발행업체(p221-225)
3.6 TV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26-227)
3.7 만화도서제작업체(p228-231)
3.8 만화도서발행업체(p232-234)
3.9 만화도서배급업체(p235)
3.10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36-240)
3.11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발행업체(p241-245)
3.12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46)
3.13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47-250)
3.14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51)
- 28 -
<BAT>
1. 인터넷산업 분석(P4-7)
1.1 인터넷산업 발전 현황
1.2 인터넷산업 TOP10 기업
1.3 인터넷산업 정책 분석
2. BAT기업 분석(P9-26)
2.1 업무 분포
2.2 경영실적 분석
2.3 투융자 분석
2.4 금융사업 분석
2.5 빅 데이터 사업 분석
2.6 O2O 사업 분포
2.7 영화/드라마 사업 분석
2.8 애니메이션메이션 사업 분석
2.9 총괄
- 29 -
2016년 KOCCA 중국관련 행사 리스트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포럼 게임 K-Game컨퍼런스2016/
비즈니스 상담회 개최 2.23~2.24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패션 Fashion KODE 2016 F/W 3.23~24 남산
제이그랜하우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FILMART 3.14~17 홍콩
국외피칭 스토리 k-스토리
해외진출프로그램(미국, 중국)
3월(중국),
11월(미국)
미국 LA, 중국
베이징
국외전시/
홍보
애니메이
션메이션
항주애니메이션메이션페스티벌
2016 4.27~5.2 중국 항주
컨퍼런스 방송 글로벌 포맷 워크숍 5.9~5.12,
8.29~31 서울 CKL
포럼 콘텐츠
전반 한중일문화산업포럼 5월초 서울(미정)
포럼 콘텐츠
전반 2016 K-컬처 정책포럼 6월, 11월, 1월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게임 ITS GAME 수출상담회 개최 6.16~6.17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Knock2016 6월, 8월, 10월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STVF 6.7~9 중국 상해
국외전시/
홍보 방송 STVF 포맷 쇼케이스 6.5 ~ 6.6 중국 상해
워크숍 방송 방송작가소재발굴워크숍(1차,
2차) 6월, 9월(예정) 미정
홍보 콘텐츠
전반 중국 충칭사무소 개소 6월 중국 충칭
포럼 콘텐츠
전반 한중문화산업포럼 6월초(예정) 중국
국제포럼 방송 북경 한국 포맷 포럼 7월,11월 예정 중국 북경
국내전시/
홍보 캐릭터 서울캐릭터라이선싱페어 7월(예정)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게임 차이나조이 7.28~31 중국 상해
기타 게임 한중 게임문화축제 개최 7.28~7.31 중국 상해
게임 2016 보드게임콘 개최 8.13~8.14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방송 BCWW2016
(국제방송영상견본시개최) 8.31~9.2 서울 코엑스
국제포럼 방송 방송작가국제포럼 8.31(예정) 미정
- 30 -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국외전시/
홍보 만화 베이징 도서전 8.24~28 중국 베이징
기타 게임 2016 대구 글로벌
게임문화축제 9.11~9.13 대구 동성로 일대
컨퍼런스 방송 글로벌 포맷 컨퍼런스 9.1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아세안 방송콘텐츠 비즈매칭 9~10월(미정) 아세안 국가 중
2~3개국
기타 게임 제12회 전국 장애학생
이스포츠대회 9.6~9.7 경주
더케이서울호텔
포럼 음악 2016 K-뮤직포럼 10월, 12월 서울
국내전시/
시상 한글 2016 한글 산업화 국제공모전
시상식 10월(미정) 서울 광화문
콘퍼런스 CT CT포럼 2016 10월중(미정) JW메리어트(동대문
)
국내전시/
홍보 패션 Fashion KODE 2017 S/S 10월(예정) 서울 DDP(예정)
국내전시/
홍보 음악 Mu:con 2016 10월(예정) 서울 DDP
컨퍼런스 콘텐츠
전반 국제콘텐츠콘퍼런스개최 10월중(미정) 서울DDP 인근
시상 대중문화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 10월중(미정) 서울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워크숍 방송 방송작가소재발굴워크숍(국외) 10월(예정) 미정
포럼 콘텐츠
전반 스타트업콘 10.14~10.15 서울(미정)
국내피칭 스토리 신화창조 프로젝트 부산 피칭 10월중(미정) 부산 벡스코
국외전시/
홍보 방송 중국 충칭 쇼케이스 및
수출상담회 10~12월(예정) 중국 충칭
국내전시/
홍보 융복합 cel 페스티벌 10월중(미정) 서울
국외전시/
홍보 캐릭터 China Licensing EXPO 10월(미정) 중국 상해
기타 게임 2016 국제 이스포츠 페스티벌 11월 평창
국내전시/
홍보
CT
게임 G-STAR 2016 11.10~11.13(예
정) 부산 벡스코
국외전시/
홍보 융복합 심천 하이테크페어 11월 중국 심천
국외전시/
홍보 CT 중국하이테크페어(심천) 11월중(미정) 중국 심천
기타 애니메이
션메이션
아시아애니메이션메이션서밋(A
AS)
11월 또는
12월 해외(미정)
시상/컨퍼
런스 스토리 2016 Story Awards & Festival 12.21~12.22 서울 코엑스(예정)
시상 콘텐츠
전반 2016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12.6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MAMA(CJ E&M 연계협업) 12월(예정) 홍콩
시상 방송 방송영상산업발전유공포상 12월 서울
- 31 -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국외전시/
홍보 음악 충칭 쇼케이스 12월(일자미정) 중국 충칭
시상/기타 음악 K-Rookies 파이널 공연 `17.1월(예정) 서울
국내전시/
홍보
지역콘텐
츠
전반
2016 글로컬콘텐츠페어 미정 미정
시상 게임 이달의 우수게임 시상식 연중 cel벤처단지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코리아브랜드&한류상품박람회(
KBEE) 미정(협의중) 미정
기타 콘텐츠
전반
콘텐츠기업국내.해외투자유치
설명회
6월,10월(국내)
8월,
11월(해외)
서울/ 중국 충칭,
상해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2015년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16년 19호,한콘진) (0) | 2016.11.18 |
---|---|
[브라질] 브라질 게임시장 현황(16년 5호,한콘진) (0) | 2016.11.18 |
KOTRA, 아시아 투자 길라잡이 역할 톡톡- 베트남, 미얀마 등 5개국 중심 ‘아시아 인베스트먼트 포럼’ 개최 (0) | 2016.11.18 |
KOTRA, “내년 화두는 변화의 흐름을 읽는 안목”- ‘변화의 파도를 향해 노를 저어라 2017 KOTRA 리포트’ 발간 (0) | 2016.11.18 |
노화예방하는 생활습관 따로 있다-복지부‧진흥원, 11월 25일(금) 창원컨벤션센터서「2016 헬시에이징 포럼」개최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