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9월 10일, 정례브리핑)

하이거 2020. 9. 10. 14:3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910, 정례브리핑)

 

최종수정일2020-09-10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1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1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수는 21,743명(해외유입 2,947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37명으로 총 17,360명(79.84%)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4,03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중증 환자는 169명이며,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46명(치명률 1.59%)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9.10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141 46 1 1 5 5 11 4 0 47 1 2 12 1 1 2 1 1
누계 18,796 4,129 298 7,014 713 416 296 95 61 3,263 186 117 354 65 131 1,430 195 33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9.10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중국 외) 아니아
신규 14 0 9 0 3 1 1 4 10 7 7
누계 2,947 23 1,382 553 901 82 6 1,392 1,555 1,856 1,091
-0.80% -46.80% -18.80% -30.60% -2.80% -0.20% -47.20% -52.80% -63.00% -37.00%

** 아시아(중국 외) : 우즈베키스탄 2명(1명), 러시아 2명(2명), 필리핀 1명, 카자흐스탄 1명(1명), 인도 1명(1명), 일본 1명, 쿠웨이트 1명, 아메리카 : 미국 2명(1명), 에콰도르 1명, 아프리카 : 케냐 1명, 오세아니아 : 호주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중증환자** 사망자
9.9.(수) 0시 기준 17,023 4,221 154 344
9.10.(목) 0시 기준 17,360 4,037 169 346
변동 (+)337 (-)184 (+)15 (+)2

* 9월 9일 0시부터 9월 10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 :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중증 : 산소마스크 및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9월 10일(12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결과 변동 가능
※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붙임 1의 “주요 집단 발생 현황” 참조

○ 8.15일 서울 도심 집회와 관련하여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557명*이다.
* (구분) 집회 관련(214명), 추가 전파(291명), 경찰(8명), 조사중(44명)
* (수도권) 268명 : 서울 125명, 경기 125명, 인천 18명, (비수도권) 289명 : 부산 13명, 대구 80명, 광주 83명, 대전 8명, 울산 16명, 강원 5명, 충북 13명, 충남 13명, 전남 4명, 경북 25명, 경남 29명

○ 서울 영등포구 일련정종 서울포교소(종교시설)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구분 계 교직자 및 교인* 가족 및 지인
전일 누계 14 13 1
금일 누계 20(+6) 17(+4) 3(+2)
* 교직자 2명(지표포함), 교인 15명(예불 참석)

○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과 관련하여 9.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병원종사자 8명(지표포함), 의료진 1명, 가족 1명

○ 서울 송파구 쿠팡 물류센터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명(직원)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감염경로 및 접촉자 조사가 진행 중이다.
* (구분) 직원 13명(+2), 추가 조사 결과 전일 가족으로 분류된 1명 직원으로 변경

○ 서울 종로구청 근로자(공원녹지관리업무)와 관련하여 9.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지표환자, 동료 7명

○ 수도권 산악모임카페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구분 계 모임참석자(지표포함) 가족 및 지인
서울 4(+1) 4(+1) -
경기 17(+5) 14(+3) 3(+2)
충남* 8(+8) - 8(+8)
총계 29(+14) 18(+4) 11(+10)
* (충남 감염경로) 산악모임카페에서 감염된 선행 확진자가 충남 홍성에서 친인척에게 전파한 것으로 추정

○ 경기 부천시 TR이노베이션/사라퀸(방문판매업) 관련하여 9.8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TR이노베이션 2명, 사라퀸 9명(지표포함)

○ 경기 성남시 보경섬유/고시원 관련하여 9.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고시원 2명(지표포함), 직원 3명(지표환자가 고시원 거주자이자 직원으로 중복 포함), 지인 및 가족 4명

○ 대전 건강식품설명회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9명*이다.
구분 계 모임참석자 등 가족 및 지인 등
대전 건강식품설명회 관련 23명(+12) 8명(+2) 15명(+10)
대전 웰빙사우나 관련* 8명 5명 3명
(직원 3, 방문자 2)
충남 아산 외환거래설명회** 8명(+2) 7명(+2) 1명
총계 39명(+14) 19명(+4) 20명(+10)
* (웰빙사우나 감염경로) 직원 2명 8.25일 건강식품설명회 참석
** (외환거래설명회 감염경로) 건강식품설명회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8.28일 외환거래설명회 참석

○ 광주 북구 시장 식당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7명*이다.
구분 계 운영자 및 방문자 가족 및 지인
전일 누계 23 12 11
금일 누계 27(+4) 13(+1) 14(+3)
○ 울산 현대중공업 확진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확진 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직원 6명(지표포함), 가족 3명, 가족의 동료 3명 (울산 2, 부산 1)


□ 9월 10일 0시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14명으로, 검역단계에서 4명이 확인되었고,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 중 10명이 확인되었다. 이중 내국인이 7명, 외국인은 7명이다.

○ 해외 유입 확진자 14명의 추정 유입 국가는 중국 외 아시아 9명(우즈베키스탄 2명, 러시아 2명, 필리핀 1명, 카자흐스탄 1명, 인도 1명, 일본 1명, 쿠웨이트 1명), 아메리카 3명(미국 2명, 에콰도르 1명), 아프리카 1명(케냐 1명), 오세아니아 1명(호주 1명)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사망자 현황 및 위중·중증 환자 현황을 공유하고, 고위험군인 고령층에 대한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 현재까지 사망자는 총 346명으로,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335명(96.8%)이다.


- 연령별 사망자는 80세 이상 176명, 70대 106명, 60대 42명, 50대 이하 22명이며, 치명률은 80세 이상 20%, 70대 6.31%, 60대 1.25%, 50대 이하 0.14%이다.

【연령별 사망자 및 치명률(9.10일 0시 기준)】


○ 금일 위중·중증 환자*는 총 169명으로, 연령별로는 80세 이상 39명(23.1%), 70대 67명(39.6%), 60대 38명(22.5%), 50대 16명(9.5%), 40대 8명(4.7%), 30대 1명(0.6%)이다.


* 위중 :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중증 : 산소마스크 및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 코로나19 환자의 중환자실 치료 여부는 환자의 기저질환 등 임상적 상태를 고려한 집중치료 필요성에 따라 결정되며, 위중·중증 환자 현황과 중환자실 치료 환자 현황은 다름.

○ 확진 시 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은,

- 외출·모임 등 다른 사람과의 접촉은 최소화해 주시고, 의료기관 방문 등 불가피하게 외출을 하시더라도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리며,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등 조금이라도 몸이 아프시면 신속하게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진료 및 검사를 받으실 것을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억제를 위해 국민들의 참여와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민들께서는 ‘2단계 사회적 거리두기 국민행동 지침’을 계속하여 실천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불요불급한 외출·모임·여행 등은 연기하거나 취소해 주시고,

- 음식점·카페에 방문하여 식사하기 보다는 포장이나 배달을 활용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또한 실내체육시설에 가기보다는 집이나 야외에서의 운동을 권장하며,

- 대면 모임보다는 PC나 휴대폰을 활용하여 비대면 모임으로 대체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불가피하게 외출할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주시고, 착용 시에는 반드시 입과 코를 완전히 가리고, 마스크 표면은 최대한 만지지 않는 등 제대로 된 착용방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 또한, 사람 간 2m(최소 1m)이상 거리를 두고, 환기가 안 되고 사람이 많은 밀집·밀폐·밀접한 장소는 가지 말아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자료> 1.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2. 풍수해로 인한 감염병 예방수칙 카드뉴스
3. 코로나19 일반국민 10대 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4. 코로나19 유증상자 10대 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코로나19 보도준칙」[한국기자협회] (2020.2.21.)
7.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8.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3.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4.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5.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일일 확진자 현황 (9.10. 0시 기준, 21,743명)
<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1.3일 이후 누계) >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9.9.(수) 2,082,234 21,588 17,023 4,221 344 36,533 2,024,113
0시 기준
9.10.(목) 2,099,591 21,743 17,360 4,037 346 33,018 2,044,830
0시 기준
변동 17,357 155 337 -184 2 -3,515 20,717

* 9월 9일 0시부터 9월 10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국비 및 건강보험 급여 지원검사만 포함되며, 확진자의 격리해제 전 검사 등은 미포함)

** 검사 중 건수는 당일검사 진행 중인 건수와 입력지연(결과 음성값) 건수 포함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지역별 확진자 현황 (9.10. 0시 기준, 21,743명)
< 지역별 확진자 현황(1.3일 이후 누계) >
지역 금일신규 확진자누계 (%) 인구10만명당
국내발생 해외유입 발생률*
서울 46 2 4,526 -20.82 46.5
부산 1 0 344 -1.58 10.08
대구 1 0 7,089 -32.6 290.95
인천 5 0 805 -3.7 27.23
광주 5 0 464 -2.13 31.85
대전 11 0 321 -1.48 21.78
울산 4 0 127 -0.58 11.07
세종 0 0 70 -0.32 20.45
경기 47 3 3,792 -17.44 28.62
강원 1 1 212 -0.98 13.76
충북 2 1 146 -0.67 9.13
충남 12 0 403 -1.85 18.99
전북 1 0 96 -0.44 5.28
전남 1 1 163 -0.75 8.74
경북 2 1 1,481 -6.81 55.62
경남 1 0 262 -1.2 7.79
제주 1 1 50 -0.23 7.45
검역 0 4 1,392 -6.4 -
총합계 141 14 21,743 -100 41.94


* 지역별 1월 이후 누적 확진자수 / 지역별 인구(‘20.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신고 기관 주소 환자 수에 대한 발생률로 실제 해당지역 발생률과 차이가 있음
< 지역별 격리 중, 격리해제, 사망자 현황*(1.3일 이후 누계) >
구분 합계 서 부산 대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 경남 제 검역
울 구 기 북 주
격리 중 4,037 1,732 74 78 225 159 89 51 9 1,040 51 37 138 28 113 41 54 21 97
격리해제 17,360 2,762 266 6,820 577 303 229 75 61 2,701 158 108 264 68 50 1386 208 29 1,295
사망 346 32 4 191 3 2 3 1 0 51 3 1 1 0 0 54 0 0 0
합계 21,743 4,526 344 7,089 805 464 321 127 70 3,792 212 146 403 96 163 1,481 262 50 1,392
* 9월 9일 0시부터 9월 10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수도권 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

수도권 지역
(서울, 인천, 경기)
신규 확진자 현황
서울지역
확진자 현황
인천지역
확진자 현황
경기지역
확진자 현황
< 부산/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

부산지역
확진자 현황

검역
확진자 현황
? 성별·연령별 확진자 현황 (9.10. 0시 기준, 21,743명)
< 확진자 성별, 연령별 발생현황 >
구 분 금일 신규 (%) 확진자누계 (%) 인구10만명당
발생률*
계 155 -100 21,743 -100 41.94
성별 남성 76 -49.03 9,905 -45.55 38.3
여성 79 -50.97 11,838 -54.45 45.56
연령 80세 이상 11 -7.1 880 -4.05 46.33
70-79 12 -7.74 1,680 -7.73 46.57
60-69 45 -29.03 3,356 -15.43 52.9
50-59 29 -18.71 3,993 -18.36 46.07
40-49 17 -10.97 2,906 -13.37 34.64
30-39 13 -8.39 2,682 -12.34 38.07
20-29 12 -7.74 4,505 -20.72 66.19
10월 19일 4 -2.58 1,222 -5.62 24.73
0-9 12 -7.74 519 -2.39 12.51
* 성별·연령별 1월 이후 누적 확진자수 / 성별·연령별 인구(‘20.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역학조사 결과 변동 가능

? 사망자 및 위·중증 환자 현황 (9.10. 0시 기준)
< 성별·연령별 사망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 사망누계 (%) 치명률(%)
계 2 -100 346 -100 1.59
성별 남성 1 -50 183 -52.89 1.85
여성 1 -50 163 -47.11 1.38
연령 80세 이상 1 -50 176 -50.87 20
70-79 1 -50 106 -30.64 6.31
60-69 0 - 42 -12.14 1.25
50-59 0 - 16 -4.62 0.4
40-49 0 - 4 -1.16 0.14
30-39 0 - 2 -0.58 0.07
20-29 0 - 0 - 0
10월 19일 0 - 0 - 0
0-9 0 - 0 - 0
< 일별 사망자 현황 >

< 위중‧중증환자 현황 >

구분 8.28일 8.29일 8.30일 8.31일 9.1일 9.2일 9.3일 9.4일 9.5일 9.6일 9.7일 9.8일 9.9일 9.10일
계 58 64 70 79 104 123 154 157 159 163 162 150 154 169
중증 32 34 38 47 69 83 101 101 98 101 101 92 89 97
위중 26 30 32 32 35 40 53 56 61 62 61 58 65 72


구분 계 중증 ( % ) 위중 ( % )
계 169 97 ( 100 ) 72 ( 100 )
80세 이상 39 26 ( 26.8 ) 13 ( 18.1 )
70-79세 67 33 ( 34 ) 34 ( 47.2 )
60-69세 38 24 ( 24.7 ) 14 ( 19.4 )
50-59세 16 9 ( 9.3 ) 7 ( 9.7 )
40-49세 8 4 ( 4.1 ) 4 ( 5.6 )
30-39세 1 1 ( 1 ) 0 ( 0 )
20-29세 0 0 ( 0 ) 0 ( 0 )
10-19세 0 0 ( 0 ) 0 ( 0 )
0-9세 0 0 ( 0 ) 0 ( 0 )
※ 위중 :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중증 : 산소마스크 및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

< 최근 2주간 (8.28일 0시~9.10일 0시까지 신고 된 3,037명) 감염경로 구분 >

? 감염경로 (9.10. 0시 기준, 21,743명)
<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



< 주요 집단 발생 현황 >
지역 확진환자(단위: 명, %) 주요 집단 발생 사례(명)
누계 해외 유입 집단 발생 관련 기타* 조사중 신규
소계 신천지 관 련 집단 해외유입
발병 관련
서울 4,526 397 2,554 8 2,475 71 739 836 48 <대규모 집단 주요 발생 사례>

• 클럽 관련(277명)
* 서울 139명, 경기 59명, 인천 54명 등

• 리치웨이 관련(208명)
* 서울 119명, 경기 58명, 인천 24명 등

• 구로콜센터 관련(170명)
* 서울 99명, 경기 50명, 인천 19명 등

• 쿠팡물류센터 관련(152명)
* 경기 67명, 인천 61명, 서울 24명

• 광주방문판매모임 관련(150명)
* 광주 139명, 전남 8명 등

• 천안 운동시설 관련(123명)
* 충남 103명, 세종 8명 등

• 수도권개척교회모임 관련(119명)
* 인천 57명, 서울 37명, 경기 25명

<최근 발생 주요 사례>

• 8.15일 서울도심 집회 관련(560명)
* 서울 126명, 경기 125명, 광주 85명, 대구 80명 등

• 영등포구 일련정종 서울포교소 관련(18명)
* 서울 17명, 인천 1명

• 수도권 온라인 산악카페모임 관련(11명)
* 경기 9명, 서울 2명

• 송파구 쿠팡송파2캠프 관련(7명)
* 서울 6명, 경기 1명

• 안산시 가족/지인 관련(5명)
* 경기 5명

• 김포시 예지유치원 관련(9명)
* 경기 9명

• 광주 동광주탁구클럽 관련(18명)
* 광주 15명 등

• 강동구 BF모바일 텔레마케팅 콜센터 관련(18명)
* 서울 18명

• 순천향대부속 천안병원 관련(28명)
* 충남 20명, 대구 4명, 경기 4명

• 서울 혜민병원 관련(19명)
* 서울 18명, 경기 1명

• 연제구 오피스텔(부동산 경매) 관련(19명)
부산 344 46 217 12 150 55 38 43 1 * 부산 14명, 경남 2명 등
대구 7,089 75 5,341 4,512 825 4 930 743 1 • 안양/군포지역지인모임 관련(28명)
인천 805 92 560 2 550 8 79 74 5 * 경기 25명 등
광주 464 48 329 9 314 6 58 29 5
대전 321 25 142 2 140 0 107 47 11 • 노원구 빛가온교회 관련(45명)
울산 127 32 60 16 40 4 24 11 4 * 서울 43명, 경기 2명
세종 70 9 45 1 43 1 12 4 0
경기 3,792 529 2,185 29 2,090 66 583 495 50 • 청양군 김치공장 관련(23명)
강원 212 26 130 17 112 1 33 23 2 * 충남 22명, 충북 1명
충북 146 29 68 6 55 7 25 24 3
충남 403 49 238 0 237 1 62 54 12 •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관련(1,166명)
전북 96 31 33 1 32 0 22 10 1 * 서울 638명, 경기 391명, 인천 52명, 충남 22명 등
전남 163 32 73 1 70 2 45 13 2
경북 1,481 51 1,100 566 534 0 197 133 3 • 평택시 서해로교회 관련(16명)
경남 262 67 160 32 124 4 16 19 1 * 경기 16명
제주 50 17 11 0 10 1 16 6 2
검역 1,392 1,392 0 0 0 0 0 0 4 • 원주시 체육시설 관련(62명)
합계 21,743 2,947 13,246 5,214 7,801 231 2,986 2,564 155 * 강원 58명 등
(%) -13.6 -60.9 -24 -35.9 -1.1 -13.7 -11.8
※ 신고사항 및 질병관리본부 관리시스템에서 관리번호가 부여된 자료를 기준으로 함.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 시도단위에서 자체 집계한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고, 이후 역학조사 진행 등에 따라 변경 가능
* 확진자 접촉자 등 기타 사례 포함
붙임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 누적발생 280,000명 이상 국가 및 아시아 ‧ 태평양 주요 국가
<단위: 명>
확진자 사망자 치명률 인구10만명당 발생자 수*
누적 신규 누적 신규 (%)
미국 6,358,247 33,205 190,727 1,170 3 1,932.01
인도 4,370,128 89,706 73,890 1,115 1.69 319.29
브라질 4,197,889 35,816 128,539 1,075 3.06 1,976.41
러시아 1,041,007 5,218 18,135 142 1.74 723.42
페루 696,190 4,615 30,123 177 4.33 2,116.08
콜롬비아 671,848 5,327 21,615 203 3.22 1,349.09
멕시코 647,507 4,647 69,095 611 10.67 489.42
남아프리카공화국 640,441 1,079 15,086 82 2.36 1,102.31
스페인 543,379 8,866 29,628 34 5.45 1,171.08
아르헨티나 488,007 9,215 10,179 267 2.09 1,082.06
칠레 427,027 1,486 11,702 20 2.74 2,279.91
이란 393,425 2,313 22,669 127 5.76 475.15
영국 355,219 2,659 41,594 8 11.71 530.18
프랑스 344,101 8,577 30,794 30 8.9 525.35
방글라데시 329,251 1,892 4,552 36 1.38 204
사우디아라비아 323,012 775 4,165 28 1.29 947.25
파키스탄 299,659 426 6,359 9 2.12 146.46
터키 284,943 1,673 6,837 55 2.4 343.3
이탈리아 281,583 1,430 35,577 14 12.63 475.65
필리핀 241,987 3,260 3,916 26 1.62 223.85
인도네시아 200,035 3,046 8,230 100 4.11 74.22
카자흐스탄 134,203 0 1,948 0 1.45 721.52
중국 85,153 7 4,634 0 5.44 6
일본 73,221 495 1,406 13 1.92 57.7
싱가포르 57,166 75 27 0 0.05 968.92
키르기스스탄 44,613 87 1,063 1 2.38 719.56
우즈베키스탄 44,557 450 362 6 0.81 135.84
호주 26,374 52 770 8 2.92 105.08
말레이시아 9,559 100 128 0 1.34 29.41
태국 3,447 1 58 0 1.68 4.97
베트남 1,059 5 35 0 3.31 1.09
대한민국 21,743 155 346 2 1.59 41.94


* 국가별 총 인구수: 유엔인구기금(UNFPA) ‘19년 기준, 대한민국 ‘20.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붙임 3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 다음은 2020년 4월 28일, 한국기자협회·방송기자연합회·한국과학기자협회에서 제정한 「감염병 보도준칙」의 주요 내용으로, 감염병 관련 보도 시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감염병 보도준칙
전문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는 국민의 생명 보호와 안전에 직결되는 만큼 무엇보다 정확한 사실에 근거해 보도해야 한다.
추측성 기사나 과장된 기사는 국민들에게 혼란을 야기한다는 점을 명심하고, 감염병을 퇴치하고 피해 확산을 막는데 우리 언론인도 다함께 노력한다. 감염병 관련 기사를 작성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한 뒤 작성하도록 하고, 과도한 보도 경쟁으로 피해자들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우리 언론인은 감염병 관련 기사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회적 파장이 크다는 점을 이해하고 다음과 같이 원칙을 세워 지켜나가고자 한다.

기본 원칙

1. 감염병 보도의 기본 내용
가. 감염병 보도는 해당 병에 취약한 집단을 알려주고, 예방법 및 행동수칙을 우선적, 반복적으로 제공한다.
나. 감염병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이나 장비 등을 갖춘 의료기관, 보건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 감염병 관련 의학적 용어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2. 신종 감염병의 보도
가. 발생 원인이나 감염 경로 등이 불확실한 신종 감염병의 보도는 현재 의학적으로 밝혀진 것과 밝혀지지 않은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전달한다.
나. 현재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의과학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제시하며, 추측, 과장 보도를 하지 않는다.
다. 감염병 발생 최초 보도 시 질병관리본부를 포함한 보건당국에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보도하며, 정보원 명기를 원칙으로 한다.

3. 감염 가능성에 대한 보도
가. 감염 가능성은 전문가의 의견이나 연구결과 등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보도한다.
나. 감염병의 발생률, 증가율, 치명률 등 백분율(%) 보도 시 실제 수치(건, 명)를 함께 전달한다.
다. 감염의 규모를 보도할 때는 지역, 기간, 단위 등을 정확히 전달하고 환자수, 의심환자수, 병원체보유자수(감염인수), 접촉자수 등을 구분해 보도한다.

4. 감염병 연구 결과 보도
가. 감염병의 새로운 연구결과 보도 시 학술지 발행기관이나 발표한 연구자의 관점이 연구기관, 의료계, 제약 회사의 특정 이익과 관련이 있는지, 정부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지지하는지 확인한다.
나. 감염병 관련 연구결과가 전체 연구중의 중간 단계인지, 최종 연구결과물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보도한다. (예: 임상시험 중인 약인지, 임상시험이 끝나고 시판 승인을 받은 약인지 구분해 보도)

5. 감염인에 대한 취재·보도
가. 불확실한 감염병의 경우, 기자를 매개로 한 전파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감염인을 직접 대면 취재하지 않는다.
나. 감염인은 취재만으로도 차별 및 낙인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염인과 가족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사생활을 존중한다.
다. 감염인에 대한 사진이나 영상을 취재·보도에 활용할 경우 본인 동의없이 사용하지 않는다.

6. 의료기관 내 감염 보도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에 대한 취재·보도 시, 치료환경에 대한 불안감 및 혼란을 고려해 원인과 현장 상황에 대해 감염전문가의 자문과 확인이 필요하다.

7. 감염병 보도 시 주의해야 할 표현
가. 기사 제목에 패닉, 대혼란, 대란, 공포, 창궐 등 과장된 표현 사용
“국내 첫 환자 발생한 메르스 ‘치사율 40%’… 중동의 공포 465명 사망!”
“"해외여행 예약 0건"…여행·호텔업계 코로나19 이어 '코리아 포비아' 악몽”

나. 기사 본문에 자극적인 수식어의 사용
“지난 2013년 한국 사회를 혼란에 빠트렸던 ‘살인진드기’ 공포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온 나라에 사상 최악의 전염병 대재앙을 몰고 온 메르스(중동호흡기질환) 의심환자가 또 발생했다.”
“'코로나19'에 박살난 지역경제..."공기업 역할해라"”

다. 오인이 우려되는 다른 감염병과의 비교
“야생진드기 에이즈보다 무섭네...물리면 사망위험 커”
“전파력 메르스 ‘1000배’…홍콩독감 유입 땐 대재앙”

■ 권고 사항

1. 감염병 발생시, 각 언론사는 특별취재팀을 구성해 감염병에 대한 충분한 사전 교육을 받지 않은 기자들이 무분별하게 현장에 접근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2. 감염병 발생시, 보건당국은 언론인을 포함한 특별대책반(T/F)를 구성해, 관련 정보가 국민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해야 하고, 위험 지역 접근취재 시 공동취재단을 구성해 기자들의 안전 및 방역에 대비해야 한다.


■ 별첨
<참고1> 감염병 정보공개 관련 법령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약칭: 감염병예방법)
제34조의 2(감염병위험 시 정보공개)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국민의 건강에 위해가 되는 감염병 확산 시 감염병 환자의 이동경로, 이동수단, 진료의료기관 및 접촉자 현황 등 국민들이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알아야 하는 정보를 신속히 공개하여야 한다. 다만, 공개된 사항 중 사실과 다르거나 의견이 있는 당사자는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정보공개의 범위,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5.7.6.]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약칭: 감염병예방법 시행규칙)
① 제27조의3(감염병위기 시 정보공개 범위 및 절차 등)
감염병에 관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8조제2항에 따른 주의 이상의 예보 또는 경보가 발령된 후에는 법 제34조의2에 따라 감염병 환자의 이동경로, 이동수단, 진료의료기관 및 접촉자 현황 등을 정보통신망에 게재하거나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국민에게 공개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16. 1. 7.]
<참고2> 감염병 보도시 기본 항목
- 질병정보 (국내외 발생현황, 병원체, 감염경로, 잠복기, 증상, 진단, 치료, 환자관리, 예방수칙)
- 의심 및 확진환자 현황 (신고건수, 의심환자 건수, 확진환자 건수)
- 확진 환자 관련 (환자의 이동경로, 이동수단, 진료의료기관, 접촉자 현황 등)
- 국민행동요령 및 정부의 대책, 감염병 확산방지 및 피해최소화 위한 지역사회와 국민참여 등

■ 부 칙

이 준칙은 2020년 4월 28일부터 시행하고, 이 준칙을 개정할 경우에는 제정 과정에 참여한 3개 언론 단체 및 이 준칙에 동의한 언론단체로 개정위원회를 만들어 개정한다.

2020년 04월 28일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과학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