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녹색금융 특별세션이 5.29. (토) 오후 8시에 개최됩니다.

하이거 2021. 5. 27. 10:01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녹색금융 특별세션이 5.29. () 오후 8시에 개최됩니다.

담당부서 : 녹색금융팀 2021-05-27

 

 

제 목 :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녹색금융 특별세션이 5.29. (토) 오후 8시에 개최됩니다.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녹색금융 특별세션」이 5.29.(토) 오후 8시부터 10시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됩니다. 

 

◦ 방역상황을 감안하여 비대면으로 개최되며,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공식 홈페이지*, 금융위원회 홈페이지** 및 유튜브 채널을 통해 누구든 자유롭게 접속, 시청할 수 있습니다.

 

* https://2021p4g-seoulsummit.kr ** https://www.fsc.go.kr

□이번 녹색금융 특별세션에는 국내외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하여 “포스트 코로나19 녹색회복을 위한 금융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 해외 인사로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세계경제포럼(WEF), 국제금융공사(IFC), 국제결제은행(BIS), 유럽투자은행(EIB),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CFD),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스탠다드앤푸어스(S&P) 등 기후환경 및 금융 관련 국제기구·기업의 고위급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 국내에서는 은성수 금융위원장, 한정애 환경부 장관, 이동걸 한국산업은행 회장, 김용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등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이번 녹색금융 특별세션은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 파트리샤 에스피노사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장➊, 뵈르게 브렌데 세계경제포럼(WEF) 대표➋, 막타 디옵 국제금융공사(IFC) CEO➌가 기조연설을 할 예정입니다.

 

➊ COP26의 성공적 개최가 중요한 이유-금융 부문을 중심으로

➋ 녹색 전환을 위한 재정 및 금융정책의 시사점

➌ 포스트 코로나 시대 녹색금융 확산을 위한 전략적 민관 파트너십 

 

◦ 이후 프랭크 리즈버만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총장을 좌장으로 “글로벌 녹색금융의 현주소”, “기후관련 공시와 녹색투자 시장”, “녹색금융을 위한 공적금융기관의 역할” 등에 대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 야닉 글레마렉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베르너 호이어 유럽투자은행(EIB) 총재, 이동걸 한국산업은행 회장, 메리 샤피로 TCFD 사무국장, 마티나 챙 S&P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 사장, 김용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등 참여

 

◦ 루이즈 페레이라 국제결제은행(BIS) 부대표와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폐회사를 할 예정입니다.

 

□ 은성수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녹색금융의 향후 과제를 조망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전세계 금융권의 협력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 특히, 지난해 2050 탄소중립 비전 선언을 계기로 적극 추진중인 한국의 녹색금융 정책을 소개하고, 

 

- 코로나19 위기 시 전세계와 방역물자·경험을 공유했던 것처럼,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서도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 이번 녹색금융 특별세션은 기후변화 대응과정에서 금융이 갖는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성장 기회인 녹색금융에 대한 국내 금융권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1> 녹색금융 특별세션 진행 순서

<참고2> 참여기관 소개

<참고3> 녹색금융 특별세션 프로그램 책자(연사소개 포함)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금융위원회 대 변 인

http://www.fsc.go.kr prfsc@korea.kr

참고1 녹색금융 특별세션 진행 순서

시간(잠정) 내 용

20:00~20:05 오프닝 영상 시청 및 세션 소개 

(05‘)

20:05~20:15 개회사 및 인사말

(10‘) o 개회사 : 은성수 금융위원장 

20:15~20:50 기조연설

(35‘) 구분 발표자 주제 

기조연설❶ 파트리샤 에스피노사 COP 26의 성공적 개최가 중요한 이유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 금융 부문을 중심으로

기조연설❷ 뵈르게 브렌데  녹색 전환을 위한 재정 및 금융정책의

세계경제포럼(WEF) 대표 시사점

기조연설❸ 막타 디옵  포스트 코로나 시대 녹색금융 확산을 위한

국제금융공사(IFC) CEO 전략적 민관 파트너십

20:50~21:45 패널토론

(55‘) o 대주제: 포스트 코로나19 녹색회복 위한 금융의 역할

- 좌장 : 프랭크 리즈버만,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총장

 

1. (세부주제1) 글로벌 녹색금융의 현주소

구분 토론자 주제 

글로벌 녹색금융의 현주소 야닉 글레마렉 글로벌 녹색금융의 주요 이슈 및 개도국 기후대응 지원의 중요성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2. (세부주제2) 녹색금융을 위한 공적금융의 역할

구분 토론자 주제 

녹색금융을 위한  베르너 호이어  유럽투자은행(EIB)의 녹색금융 전략 

공적금융의 역할 유럽투자은행(EIB) 총재

이동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정책금융기관의 역할 

한국산업은행 회장

 

 3. (세부주제3) 기후관련 공시와 글로벌 녹색투자 시장

구분 토론자 주제 

기후관련 공시와  메리 샤피로 정확하고 투명한 기후공시 확산의 중요성 

글로벌 녹색투자 시장 TCFD 사무국장

마티나 챙  민간 금융사들의 녹색금융 추진 동향 

S&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 사장

김용진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녹색투자 리더십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21:45~22:00 폐회사

(15‘) o 루이즈 페레이라, 국제결제은행(BIS) 부대표

o 한정애, 환경부 장관

참고2 참여기관 소개

참석기관 영문(Full name) 설 명

유엔기후변화협약 UN Framework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현상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92년 리우데자네이루 환경회의에서 채택된 협약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상이한 온실가스 감축의무, 선진국의 기술이전 의무 부과 등 국가별 차등화된 기후대응 의무 부과, 매년 당사국총회(COP) 개최

(UNFCCC)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 기업인·경제학자·저널리스트·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체

Forum

(WEF)  - 다보스 연례 총회 개최, 포럼을 통해 물·에너지·식량 등 인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진행

국제금융공사 International - 세계은행 그룹의 산하기관으로 개발도상국 민간부문 투자를 촉진하고자 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개발금융기관

Finance Corporation

(IFC) - 녹색성장·기후 관련 프로젝트에 금융지원, ESG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 지원·자문 제공 등 활동 진행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Global Green - 개발도상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등을 위해 2010년 서울에 설립된 국제기구

Growth Institute

(GGGI) - 개발도상국에 대한 자문 제공 및 녹색성장 모델 제시

녹색기후기금  Green Climate Fund - UNFCCC에 따라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 

(GCF)

-각 국이 공여한 재원을 기초로 조성된 기금을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사업에 지원 

유럽투자은행 European  - 유럽 내 경제적 격차 해소, 균형발전 등을 목표로 '58년 설립된 당시 유럽경제공동체(EEC)의 금융기관

Investment Bank

(EIB) - 기후변화 완화 및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프로젝트에 대규모 재원 공급 등 친환경·탄소중립 분야에 지속적 투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Taskforce on  -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무정보 공개 확대를 목적으로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2015년 설립한 태스크포스(TF)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 금융기관의 기후리스크 대응전략 수립 및 기업의 기후변화 정보공개를 촉구하는 권고안 발표(‘17.6월) 등

(TCFD)

S&P 글로벌인텔리전스 Standard and Poor’s -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S&P의 자회사로 금융정보 수집 및 분석 등의 업무 수행 

Global Market 

Intelligence - ESG, 녹색금융 등에 대한 연구 수행, 데이터 수집·분석, 세미나 개최 및 자문 활동 수행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 국제공조·분쟁조정 등을 통해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의 조화로운 시장안정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국제기관 

Settlements

(BIS) - 조사·연구 진행 및 보고서 발간(‘그린스완’ 개념 제시), 중앙은행·감독기구 녹색금융 협의체(NGFS) 등 국제 이니셔티브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