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수입 염장바지락살 섭취로 인한 A형간염 주의-수입 염장바지락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하이거 2021. 5. 27. 10:11

수입 염장바지락살 섭취로 인한 A형간염 주의-수입 염장바지락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작성일2021-05-27 최종수정일2021-05-27 담당부서감염병관리과

 

수입 염장바지락살 섭취로 인한 A형간염 주의 

 

- 수입 염장바지락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최근 A형 간염 환자 증가 원인을 조사하는 중, 수입 염장바지락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고 밝히고, 

 

○ 익히지 않은 조개류의 섭취는 A형간염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조개류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할 것을 당부하였다.

 

* 바지락살을 소금으로 절인 것으로 조개젓 제조 시 원료로 사용하거나 식품접객업소 등에서 조개젓 조리에 사용

 

** DANDONG XIANGLONG DEVELOPMENT CO. LTD. 염장바지락살(수입원: ㈜세현글로벌, 포장일자: ’20.09.08, 수입신고일자: ’20.11.09.)

 

○ 질병관리청과 지자체의 심층역학조사 과정에서 A형간염 환자들이 식당(인천 소재)에서 섭취한 조개젓 반찬과 5일장(경기도 소재)에서 구매한 조개젓 제품이 한 업체가 수입한 염장바지락살로 만든 사실과 경기, 인천 등 전국에 공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 인천 남동구가 환자들이 섭취한 염장바지락살과 동일한 미개봉 제품을 수거하여, 인천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한 결과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당 제품을 수입한 영업자에게 회수·폐기를 명령하였다.

 

○ 아울러 해당 해외제조업소의 염장바지락살에 대해 수입신고수리 보류조치*하고, 

 

* 수입 신고수리보류조치 제도(’18.12.11 도입) : 국민건강상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수입신고의 수리를 보류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입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제도(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제20조제4항)

 

- 그간 통관ㆍ단계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이력 없이 유통되고 있는 염장바지락살 제품을 대상으로 수거검사를 실시하는 등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21년 3월 이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였다.(붙임2)

 

○ 주당 100명 이하로 유지되던 환자수가 11주(3.7-13.)부터 환자가 1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17주(4.18-24.) 189명, 18주(4.25-5.1.) 179명, 19주(5.2-8.) 150명, 20주(5.9-15.) 203명, 21주(5.16-22.) 190명 등으로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신고 건수가 증가하였다.

 

□ 질병관리청은 익히지 않은 조개류의 섭취는 A형간염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A형간염 예방을 위해 조개류는 반드시 90℃ 이상에서 4분 이상 충분히 익혀 섭취할 것을 권고하였다.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二枚貝類))의 소화기관 (중장선(中腸腺))에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또한, A형간염은 백신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특히 항체보유율이 낮은 20-40대는(붙임3)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출처: 국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 연구 조사, 질병관리청, 2020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최근 A형간염 환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어, 조개류는 반드시 익혀먹고,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1. A형간염 개요

2. A형간염 발생현황

3. A형간염 면역도 조사결과

4. A형간염 예방수칙 카드뉴스

붙임 1  A형간염 개요

구 분 내 용

정 의 ∙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질병 분류 ∙ 법정감염병 : 제2급

∙ 질병코드: ICD-10 B15

병원체 ∙ Hepatitis A virus

­ Picornaviridae과의 Hepatovirus속 RNA virus

­ 바이러스가 장관을 통과해 혈액으로 진입 후 간세포 안에서 증식하여 

염증을 일으킴

병원소 ∙ 사람 (Ⅰ, Ⅱ, Ⅲ, Ⅶ 형), 침팬지, 원숭이류(Ⅳ, Ⅴ, Ⅵ 형)

전파 경로 ∙ ʻ분변-경구ʼ 경로로 직접 전파 

∙ 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한 간접 전파

∙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나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

∙ 성접촉을 통한 감염

잠복기 ∙ 15∼50일(평균 28일)

진 단 ∙ 검체(혈액 등)에서 특이 항체(IgM) 검출

∙ 검체(혈액, 대변, 직장도말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증 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권태감,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등 

∙ 수주∼수개월 후 대부분 회복하나 드물게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음

∙ 만성 간염은 없으나, 감염 환자의 15%는 A형간염이 1년까지 지속 또는 

재발할 수 있음

치 료 ∙ 특이적 바이러스 치료제는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대부분 회복됨

∙ 전격성 간염 또는 구토로 인해 탈수된 환자는 입원치료 필요

전염기간 ∙ 최초증상 발현 2주 전부터 황달이 있는 경우 황달 발생 일주일까지, 황달이 없는 경우 최초증상발생일로부터 14일간 

* 황달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빌리루빈 상승 시점 기준

치사율 ∙ 0.1∼0.3%

∙ 50세 이상의 경우 1.8%

예 방 ∙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안전한 음식 섭취 : 음식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인 조리하기

∙ 예방접종

­ 대상 :12∼23개월의 모든 소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소아청소년이나 성인, 환자의 접촉자, 고위험군에 대해 접종

­ 6-18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 주사

 

 

 

붙임 2  A형간염 발생현황

* 이 통계는 잠정통계임. 자세한 내용은 감염병포털(www.kdca.go.kr/npt) 참고

 

○ 2021년(1.1-5.22.) 2,436명(인구 10만명당 발생률 4.70명) 신고

 

- ’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12년 이후 동기간대비 환자 수가 가장 많음

 

<연도별 주별 A형간염 신고 현황>

○ (연령대) 평균연령 42.93세(중앙값 42세), 30∼40대가 전체 신고 환자의 67.1%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927명(38.1%), 30대 708명(29.1%), 50대 365명(15.0%), 20대 217명(8.9%), 기타 연령 219명(9.0%) 

 

<′21년 연령별 A형간염 신고 현황>

○ (성별) 남자 1,290명(52.96%), 여자 1,146명(47.04%)

 

○ (지역) 신고환자 수*는 경기, 서울, 인천, 충남, 충북 순이나, 인구 10만명당 신고건수**는 제주, 경기, 충남, 인천, 충북, 서울 순으로 높음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981명, 서울 545명, 인천 186명, 충남 156명, 충북 92명

** 인구 10만명당 신고건수 : 제주 7.77명, 경기 7.46명, 충남 7.34명, 인천 6.29명, 충북 5.75명, 서울 5.59명

<′21년 시·도별, 주별 A형간염 신고 현황>

시도 2021년 10만명당 발생률 1주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누계

1.1.- 1.1.- ‘20.12.27.-‘21.1.2. 1.3 1.1 1.17 1.24 1.31 2.7 2.14 2.21 2.28 3.7 3.14 3.21 3.28. 4.4 4.11 4.18 4.25 5.2 5.9 5.16

-9 -16 -23 -30 -2.6. -13 -20 -27 -3.6. -13 -20 -27 -4.3. -10 -17 -24 -5.1. -8 -15 -22

전국 2,436 4.7 81 81 74 86 99 94 62 95 74 96 108 137 106 117 132 155 189 179 150 203 190

서울 545 5.59 14 15 8 15 22 21 12 24 14 17 26 47 27 37 35 38 34 36 26 53 38

부산 44 1.28 2 1 0 2 1 2 3 1 0 5 0 3 1 4 3 1 5 2 1 7 2

대구 29 1.18 1 3 1 1 3 1 1 0 1 0 3 1 1 2 0 1 2 0 1 2 5

인천 186 6.29 4 7 6 1 8 8 7 10 10 10 5 7 12 7 5 8 10 18 15 14 18

광주 37 2.54 1 2 1 4 0 2 0 2 3 4 1 1 0 5 2 1 3 0 2 2 2

대전 57 3.85 3 1 6 1 3 1 0 5 4 5 5 1 2 2 3 4 3 2 0 5 3

울산 10 0.87 2 0 0 0 1 0 0 0 1 1 0 3 0 1 1 0 0 2 0 0 0

경기 981 7.46 34 35 29 35 32 35 22 33 21 36 41 43 36 37 58 70 88 79 74 88 83

강원 38 2.46 1 0 1 4 1 3 0 2 0 1 1 3 2 0 0 5 5 1 3 5 1

충북 92 5.75 3 1 3 4 2 4 2 1 1 7 3 6 3 2 4 11 10 7 7 8 5

충남 156 7.34 6 5 11 7 8 5 6 10 8 2 10 6 10 6 9 7 16 9 7 5 9

전북 74 4.05 2 4 4 10 7 6 2 1 1 2 4 3 3 6 4 3 3 4 1 1 5

전남 61 3.25 1 3 1 0 4 2 4 4 4 1 4 5 2 3 5 3 3 4 2 1 6

경북 42 1.57 2 1 1 0 2 2 1 2 2 4 2 5 2 5 1 1 2 4 3 1 1

경남 22 0.65 1 2 0 2 2 0 1 0 1 0 2 1 1 0 2 1 1 1 2 1 1

제주 52 7.77 2 1 2 0 2 1 1 0 1 1 0 2 3 0 0 0 4 8 5 10 11

세종 10 3.05 2 0 0 0 1 1 0 0 2 0 1 0 1 0 0 1 0 2 1 0 0

 

 

 

 

 

 

 

붙임 3  A형간염 면역도 조사결과

○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출처: 국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 연구 조사, 질병관리청, 2020)

-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확보된 10-59세(1960-2010년생) 3,998명의 검체로 A형간염 면역도 조사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단위:%)

연령 검사 건수 항체 양성 건수 항체 양성률

10월 14일 388 295 76.00%

15-19 401 235 58.60%

20-24 400 136 34.00%

25-29 399 78 19.50%

30-34 402 83 20.60%

35-39 399 126 31.60%

40-44 404 193 47.80%

45-49 401 293 73.10%

50-54 402 367 91.30%

55-59 402 388 96.50%

총 검사 건수 3,998 2,194 54.90%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붙임 4 A형간염 예방수칙 카드뉴스